단신

입력 2003-06-28 09:17:48

대학생 39% 취업 대신 창업 계획

잡코리아.벤처기업협회 조사

취업 문턱이 갈수록 높아지는 가운데 대학생 10명 중 4명은 취업 대신 창업을 계획한 적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온라인 채용정보 업체 잡코리아(www.jobkorea.co.kr)와 벤처기업협회는 대학생 1천664명을 대상으로 공동 설문조사한 결과, 전체의 38.9%가 취업 대신 창업을 계획한 적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난 26일 밝혔다.

지금까지는 창업을 생각한 적 없다는 학생들 중 78.9%도 앞으로의 상황에 따라 창업할 수 있다고 응답했다는 것.

또 '창업 관련 세미나에 참가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학생이 전체의 82.1%를 차지해 학생들의 높은 창업 관심을 보여준 반면, 창업 동아리 활동을 한 적 있는 학생은 전체의 11.4%에 불과해 학내 창업 동아리가 아직 활성화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을 계획했던 학생들이 선택한 업종은 IT가 39.7%로 가장 많았고 프랜차이즈가 24.7%로 뒤를 이었다.

세부 창업 아이템으로는 콘텐츠 제공사업(15%), 인터넷 쇼핑몰(12.3%), 애완동물 관련 사업(9.4%), 요식업(8.4%) 등이 주로 꼽혔다.

동업(38.4%)보다 독자 사업(61.6%)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는 상반기 대졸 취업자 중 절반 이상이 입사한 회사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기도 했다.

직장 새내기 절반 "회사에 불만족"

채용정보업체 인크루트(www.incruit.com)는 올 2월 대졸 정규직 취업자 1천14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입사한 회사에 불만족한다는 응답이 전체의 56.5%를 차지했다고 25일 밝혔다.

불만족 이유에 대해서는 '연봉 수준' 때문이라는 응답이 45.7%로 가장 많았고, '업무 내용'(33.8%) '동료와의 관계'(15.4%) 등도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취업 성공 요인을 묻는 질문에는 '학교.학과'라는 응답이 전체의 25.4%로 가장 많았다.

그 외에는 외국어 실력(15.5%), 인턴.아르바이트 경험(13.2%), 자격증(10.4%) 등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입사한 회사는 중소기업이 51.9%로 가장 많았고 나머지는 대기업(26%) 벤처기업(17.5%) 외국기업(4.6%)으로 구성됐으며, 취업 직종은 영업직이 13.7%로 1위를 차지했다.

연간 초봉은 1천500만∼1천800만원이 23.2%로 가장 많았으며 1천800만∼2천만원, 1천500만원 이하가 각 19%를 차지, 2천만원 이하가 전체의 61.2%로 나타났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