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 공동성명을 발표했을때, 그것이 유신체제로 가기 위한 '멍석 깔기' 였음을 알지 못하고.... 한때나마 덩달아 흥분했고, 심지어 강의시간에까지 그 기대감을 드러내기도 했으니, 지금 생각해도 역사를 잘못 본 부끄러움에 얼굴이 붉어진다". 노 사학자의 솔직하고 회한 어린 표현이다.
지은이(70)는 30여 권의 한국사 관련 저작을 내놓은 한국사학계의 '어른'이다.
평생을 분단시대의 극복과 역사 발전에 믿음을 간직하고 살아왔다.
이 책은 대학 교단에서 정년을 맞았던 지난 1999년을 전후로 최근 몇년 동안 썼던 신문 칼럼을 모은 것이다.
"평생을 두고 일기를 못 썼는데, 이같은 세기적 전환기에 공인된 언론지면을 통해 만년의 일기를 쓰는 셈치고 칼럼글을 쓴다"는 머리말처럼 그의 '만년의 일기'인 셈이다.
특히 역사학자가 가져야 할 혜안과 의무에 대한 글들이 노학자의 진심을 읽을 수 있다.
"역사학자는 역사 진행의 방향을 누구보다 먼저 알아내야 할 의무가 있다.
역사의 대열을 뒤따라가기에도 힘겨운 역사학자가 되어버리면 십년공부 도로아미타불이 되고 만다".
지은이는 고려대 사학과를 졸업하고, 현재 상지대 총장으로 재직중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홍석준 칼럼] 우물안 개구리가 나라를 흔든다
전국 법학교수들 "조국 일가는 희생양"…李대통령에 광복절 특별사면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