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26일 전당대회를 통해 새 대표를 선출했으나 정국 전망은 그다지 밝지 않다.
새 대표가 누가 되든 대여 투쟁 강도가 격해질 개연성이 큰 데다 새로운 대북송금 특검법안, 노무현 대통령 친인척 비리의혹 국정조사, 신당 논의 등 여야가 곳곳에서 정면충돌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여 강경노선 천명=한나라당은 이날 전당대회 말미에 세 가지 '대국민 약속'을 채택했다.
△권력형 부패와 정치공작 사건에 대한 국정조사 및 특검 추진 △정부 여당의 무능·무책임과 국정혼란 바로 세우기 △법치주의 확립이라는 강경노선 원칙을 제시한 것이다.
새 대표가 출범하는 '잔칫날', 상생정치를 말하기보다 회초리를 들고 거대 야당의 선명성과 대여 투쟁노선을 밝힌 것은 아무래도 향후 여야관계가 순탄치 않을 것임을 예고하는 대목이다.
특히 지난 대표경선 과정에서 어느 후보랄 것 없이 노무현 정권에 대한 공격과 실정 들추기에 열을 올린 점을 감안하면 이날 대국민 약속이 단순 경고용 메시지가 아닌 것으로 관측된다.
정부 여당이 새 대표에게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는 것도 이 때문이다.
◇내부 동요 가능성=한나라당의 강경방침 이면에는 당내 개혁파 세력의 이탈을 막기 위한 속뜻이 담겨있다는 시각도 적지 않다.
다시 말해 새 대표의 당 장악 리더십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 아니냐는 것이다
이미 탈당 의지를 표면화시킨 5~7명의 개혁파 의원들은 '전대 이후 갈 길을 가겠다'는 입장을 천명한 상태.
김부겸·안영근 의원은 '전대 직후 결행' 입장을 전했고 이부영·이우재·김홍신·서상섭·김영춘 의원도 거취를 심각하게 고민 중에 있다.
성향상 이들의 결행은 결국 정치권내 빅뱅 내지는 이념적 재편을 촉발시킬 것이라는 점에서 정치권내 신당 논의를 가속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김일윤·박헌기·신영국·윤영탁·이상득·정창화 의원 등 한나라당 중진의원 25명이 당 일각의 탈당 움직임에 제동을 걸겠다고 나서 당 안팎에서 신 구 세력간 보혁 갈등이 빚어질 가능성도 적지 않다.
또 경선 후유증도 풀어야 할 과제다.
일부 후보들은 '누구와 한솥밥을 먹을 수 없다' '누가 당선되면 누가 탈당할 것'이라며 새 대표를 압박하고 있다.
◇새 대표의 과제=새 대표는 내년 17대 총선을 승리로 이끌어야 하는 책무를 지니고 있다.
총선을 겨냥한 여권의 신당 창당 움직임에 맞서 체제 정비가 불가피하다.
대화 채널을 열어 당 내부 동요를 수습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리더십을 선보여야 한다는 부담도 크다.
이와 함께 어려운 경제현실을 감안, 국민의 정당으로 거듭나야 할 과제도 안고 있다.
또 대표 개인으로 볼 때도 총선에서 승리할 경우, 5년 뒤를 예상할 수 있지만 자칫 패배할 경우 정치생명까지 위태롭다는 점에서 여간 부담스런 자리가 아니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