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 해외로…해외로…

입력 2003-06-26 12:01:31

대구·경북 제조업체들의 해외 이전 및 직접 투자가 잇따르면서 지역 산업의 공동화 현상이 우려되고 있다.

해외진출업체들은 표면적으로는 '글로벌경영'을 슬로건으로 내세우고 있지만 실제로는 국내의 악화된 기업활동 여건을 피해 상대적으로 안정된 해외로 발길을 돌린다는 것이 일반적 분석이다.

실제 국내의 기업활동 여건은 고임금, 3D업종 인력난, 정부의 지속적인 간섭과 규제, 무역장벽에다 최근 잇따르고 있는 노사분규 등으로 크게 악화되고 있다.

한국수출입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대구 제조업체들의 해외 진출 및 투자 건수는 56건으로 2001년 32건에 비해 2배 가량 급증했고 올해도 4월 현재까지 30건에 달하고 있다.

또 지역에 기반을 둔 대기업들의 역내 신규 생산설비 투자는 거의 중단된 상황이지만 LG전자, 삼성전자, 포스코 등의 중국을 중심으로 한 해외 현지법인 설립은 올해도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상태다.

구미공단내 대형 화섬업체들도 대규모 생산설비 증설을 중국에만 집중, 탈대구·경북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대구지역에서 해외공장 설립이 가장 활발한 부문은 자동차부품업으로 99년 1건, 2001년 3건에서 지난해엔 12건으로 늘어났고 올들어서도 투자 확대 및 해외 현지 공장 설립이 잇따르고 있다.

부품업종의 해외 진출은 중국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자동차 잠금장치류를 생산하는 ㅍ사는 지난해 5월 중국 장쑤성 타이창시에 100만달러를 단독 출자해 현지법인을 설립했고 서보 프레임 업체인 ㅎ사도 지난해 11월 중국 베이징 흥곡공업개발지구에 공장을 임대했다.

올해 들어서는 방진제품을 생산하는 ㅍ산업이 지난 2월 총 1천200만달러를 투자해 중국 톈진에 현지법인을 설립했고 헤드램프 및 새시류를 생산하는 ㅅ사도 올해 안으로 중국 후베이성 스이엔시에 1만4천평 규모의 공장을 건립할 예정이다.

90년대 초 러시를 이뤘다 잇따른 실패로 뜸해진 지역 섬유업체들의 중국 진출도 다시 늘어나는 추세다.

자수업체인 ㅅ, 섬유기계업체 ㅎ사 등 4개사는 동시에 중국 산둥성 루산시로 이전할 계획을 세워두었고, ㅅ사는 이미 현지 투자법인 설립에 관한 모든 준비를 끝마쳤다.

최근 루산시 당 서기장은 대구시를 방문해 현지 투자 유치 설명회까지 열었다.

잇따른 실패에도 불구하고 중국 이전이 재개되고 있는 것과 관련, 업계 관계자들은 더 이상 대구에서 기업을 할 수 없다는 절박함 때문이라고 밝히고 있다.

3D 업종 기피에 따라 섬유 인력난이 가속화되고 있는데다 잇따른 파업으로 노조와의 임금협상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지역 경제계는 해외진출 기업과 역내진입 기업간의 불균형 가속화로 산업 공동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며 해외 기업의 역내 유치와 국내기업활동 규제완화 등 기업환경 개선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상준기자 all4you@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