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23일 경찰의 통발식 음주운전 단속 개선 방침 발표 후 술취한 핸들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별단속 방침에 따른 운전자들의 "걸리지 않으면 괜찮다"는 안전의식 불감증에다 음주단속이 없어졌다는 잘못된 인식이 운전자들 사이에 확산되고 있기 때문.
군위경찰서가 경찰청의 새로운 음주운전 단속방침 발표 다음날부터 기존의 도로를 전면 차단한 일제검문식 통발단속에서 유흥업소 주변과 골목길 등에서 2개월여간 선별단속한 결과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적발 건수가 4~5배나 늘었다.
경찰에 따르면 지난해 음주단속 실적은 5·6월 각각 17건을 비롯해 총226건으로 월 평균 18건(하루 평균 0.6건)이 단속됐으나 경찰청의 단속방법 개선 이후부터 술취한 핸들은 급격히 늘어 지난 5월 76건에 이어 이달 들어 15일간 49건이나 적발돼 하루 평균 3.2건이 적발된 셈.
이 때문에 음주운전에 따른 사고가 올들어 29건이 발생해 4명이 숨지고 20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경찰은 현재까지 적발된 음주운전자 96명의 운전면허를 취소하고 83명은 면허를 정지 시킨 후 이들에게 무면허 운전을 금지하는 경찰서장의 서한문을 보낸 후 단속활동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한 교통경찰관은 "술 안 마시고 무슨 재미로 살 수 있나. 왜 나만 표적단속하느냐"며 "노골적으로 불만을 표출하고 항의하는 등 최근 운전자들의 안전의식 수준이 위험수위를 넘었다"고 했다.
황순용(48) 교통계장은 "지난해까지는 음주운전 단속에 지역 주민들이 대부분 적발됐으나 최근에는 단속되는 대부분이 외지인들로 선별단속에 설마 걸리지 않겠지 하는 안전의식 불감증이 확산된 때문"이라 말하고 "경찰은 음주운전이 사라질 때 까지 무기한 단속할 것"이라고 했다.
군위·정창구기자 jungcg@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첫 회의 연 국민의힘 혁신위, "탄핵 깊이 반성, 사죄"
강선우 '스쿨존 내로남불' 이어 '갑질 내로남불' 의혹에 우재준 "李대통령 어찌 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