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정 대립 격화

입력 2003-06-19 15:00:00

◈파업관련 6명 체포영장

정부가 조흥은행 매각을 예정대로 진행, 조기에 마무리하기로 방침을 정한 반면 노조원 6천여명은 본점에서 농성을 계속하는 등 노·정 대립이 격화되고 있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19일 오후 5시30분 김진표 부총리 겸 재경부 장관과 전철환 공적자금위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전체회의를 열어 조흥은행 매각 방안을 승인할 방침이다.

이에 앞서 김 부총리는 18일 "조흥은행의 전격 파업에도 불구, 매각은 예정대로 진행해 조기에 마무리 짓겠다"고 밝혔다.

김 부총리는 "노조가 요구하는 분산 매각은 공적 자금 회수에 1조원 이상 차질을 빚어 그만큼 국민의 부담이 늘어나고 은행 민영화도 상당 기간 지연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김 부총리는 따라서 노조의 분산 매각 요구를 수용할 수 없다고 못박고 특히 조흥은행 매각 여부는 노조와의 협상 대상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또 경찰은 19일 은행 매각방침에 반발한 조흥은행 노조의 총파업 사태와 관련, 허흥진 금융산업노조 조흥은행 지부장 등 조흥은행 노조 관련자 6명에 대한 체포영장과 조흥은행 노조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영장을 발부받았다.

경찰은 또 이날 체포영장이 발부된 6명을 제외한 나머지 노조간부 10명에 대해서도 소환에 불응할 경우 금명간 체포영장을 신청할 방침이다.

이에 맞서 한국노총은 당초 예정대로 오는 30일 총파업에 들어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한국노총 관계자는 "조흥은행 파업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산별 대표자회의를 열어 총파업 일정을 30일에서 앞당기려 했지만 적법성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에 따라 당초 일정대로 파업을 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건강보험직장노조와 국민연금 노조는 총파업 일정을 25일에서 23일로 앞당기기로 했다고 이 관계자는 덧붙였다.

한편 파업 첫 날인 18일 하루 동안 조흥은행에서는 8천600억원이 인출되는 등 파업 방침을 밝힌 지난 11일 이후 2조1천억원이 빠져나감으로써 자칫하면 유동성 위기가 닥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유동성 지원 비상 대책 마련에 나섰으며 한국은행은 환매조건부채권(RP) 매입 형태로 단기 유동성을 긴급 수혈하기로 했다.

이대현기자 sky@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