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흥은행 노조의 총파업으로 고객들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파업이 언제까지 지속될 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정부의 은행 매각에 반대, 무기한 파업에 들어간 조흥은행 노조가 소기의 성과를 달성할 수 있을 지는 지금으로서는 미지수다.
먼저 2000년 12월 합병을 반대하며 파업을 벌였던 국민·주택은행과 비교할 때 '동력'이 약하다는 지적이다.
당시 국민·주택은행은 금융노조의 후원을 등에 업고 예상과는 달리 공권력이 투입되기까지 1주일여간 견고한 파업을 벌임으로써 금융시장에 파장이 컸다.
하지만 조흥은행 경우 한국노총과 민노총이 동조파업을 선언했지만 예전과는 달리 택시노련이나 다른 금융회사가 별반응을 보이지 않고 오히려 경쟁은행이 파업기간 자은행으로의 고객흡수 등 틈새를 노릴 것으로 보이는 등 우호세력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파업돌입을 전후해 수신고가 크게 빠지고 있는 것도 노조로서는 부담이다.
조흥은행은 오랜 역사에서 비롯된 강한 단결력으로 상당기간 파업을 지속할 힘을 축적하고 있는 것으로 금융계는 보고 있지만 노조집행부에 대한 검·경의 공세와 공권력 투입여부에 따라 상황전개가 유동적이다.
조흥은행과 신한간의 오랜 감정의 골도 파업이라는 외곬수로 조흥을 내몰고 있는 요인으로 금융계는 보고 있다.
신한은행이 창립시 조흥은행 직원들을 대거 스카우트해갔고 전산망도 그대로 가져와 사용했다는 점에서 신한금융지주로의 합병이 조흥은행 직원들에게는 자존심에 상처가 가는 일이라는 것. 조흥은행에서 배태된 신한금융지주가 점령군으로 들어오는 것을 용납하기 힘든 것이다.
금융계는 그러나 파업중인 조흥 노조원들이 19일 공적자금관리위원회의 최종 매각협상 승인 등 모든 상황이 끝나가는 마당에 파업의 실익이 없다고 보고 있어 파업이 오래가지는 못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파업에 따른 국민여론 등을 감안, 공권력 투입시기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고객피해나 전산장애 등 금융혼란의 조짐이 있을 경우 정부는 공권력 투입을 서두를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계는 정부가 정면돌파를 선언한 이상 공권력 투입은 단지 시기문제일 뿐으로 보고 있다.
이대현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