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국가연합(ASEAN)은 17일 발표된 외무장관회담 공동성명을 통해 북한의 핵확산금지조약(NPT) 복귀를 촉구했다.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열리고 있는 회의에 참석한 10개국 아세안 외무장관들은 공동성명 발표에 앞서 '한반도 상황에 대해 계속적인 우려'를 표시하면서 "한반도의 비핵화와 현 긴장상황의 대화를 통한 평화적 해결은 동아시아의 평화를 위해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특히 콜린 파월 미국 국무부장관도 아세안 지역안보포럼(ARF)에 참석,북한 핵개발에 대한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밝힐 예정이어서 주목된다.
파월장관은 북한문제와 관련, 북한의 범죄행위 및 핵무기 개발과 관련된 거래 등을 중단시키는데 찬성한 한미일 3국의 13일 대북정책 조정감독 그룹회의(TCOG)의 공동성명을 재천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함께 아세안은 미얀마 군사정부에 대해 민주화 지도자 아웅산 수지 여사의 구금해제를 촉구했다.
옹 켄 용 아세안 사무총장은 기자들에게 "아세안 회원국들은 수지여사가 석방되어 자유롭게 활동할수 있기를 바라며, 우리는 이같은 뜻을 미얀마 외무장관에게 설명했다"고 말했다.
자야쿠마르 싱가포르 외무장관도 "많은 아세안 외무장관들이 토의시간에 최근의 상황전개가 미얀마 뿐만 아니라 아세안을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다는 우려를 미얀마 외무장관에게 전달했다"고 말했다.
특히 일본도 금주 프놈펜에서 열리는 양국 외무장관회담에서 수지 여사를 즉각 석방하지 않으면 경제원조 조치를 재검토할 수 있다는 경고를 전달할 계획이다.
한편 인도네시아는 아세안이 경제중심의 협력체에서 탈피해 테러근절과 역내평화 정착을 위한 안보공동체 창설하자고 제안, 장래 아세안의 기능과 역할설정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6일 AP통신이 입수한 아세안 기밀문건에 따르면 하산 위라유다 인도네시아 외무장관은 "1967년 창설된 아세안회원국들이 정치,안보와 같은 주제들에 대한 논의를 시작할 때가 됐다"며 안보공동체 창설 필요성을 제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홍석준 칼럼] 우물안 개구리가 나라를 흔든다
전국 법학교수들 "조국 일가는 희생양"…李대통령에 광복절 특별사면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