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계 일선의 갈등이 심화되고, 대립이 '이전투구' 양상으로까지 번지는 가운데 이상주 전 교육부총리가 주축이 되고 교육.사회 분야 원로.중진들이 대거 참여한 '교육공동체시민연합'이 출범해 귀추가 주목된다.
각계 인사 1천500여명이 참여, 14일 창립식을 가진 이 단체는 민주적이고 조화로운 학교공동체 재건을 위해 '2세 국민의 건전한 성장 발달을 가로막는 어떠한 사회세력이나 조건에도 단호히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교단이 상호 반목과 갈등으로 치달으면서 참교육이 뒷전으로 밀려나 공교육이 뿌리째 흔들리고 있다는 진단에도 공감한다.
우리 교육의 당면 과제는 공교육 정상화이며, 참교육을 위한 노력이 최우선돼야 한다는 사실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그러나 그간 교육 현장은 교육의 근본과는 거리가 먼 '힘의 논리'가 팽배해 있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심지어 순수 교육단체로서의 범주를 벗어나 특정 이데올로기를 학생들에게 주입하는 등 정치.이념적인 빛깔을 띠는 경우마저 없지 않았다.
전교조 교사들의 수업 거부로 피해를 입은 학생과 학부모에게 위자료를 주라는 법원의 판결까지 나온 상황이지만, 두 단체는 이제 참교육 지향이라는 목표를 향해 매진해 주기 바란다.
교단이 갈등과 대립으로만 치닫는다면 학생들에게 가장 큰 피해가 돌아가며, 먼 장래를 내다봐야 할 '백년대계'가 위태로울 수밖에 없다.
이번 교육공동체시민연합 출범을 계기로 우리는 '힘으로 밀어붙이면 안 되는 일이 없다'는 '잘못된 믿음'의 불식과 교단의 질서를 깨뜨리는 집단행동과 학생들에게 나쁜 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는 행위는 어떤 경우라도 자제돼야 한다는 점을 새삼 강조한다.
차제에 정부는 균형감각을 가지고 난마처럼 얽혀 있는 각 집단의 목소리를 수렴하면서 사분오열된 교육공동체를 슬기롭게 조화시켜야 한다.
우리 교단은 더 늦기 전에 모든 국민이 걱정하는 교육 위기를 극복하고 공교육이 바로 설 수 있는 길을 찾는데 최선을 다해 뜻과 힘을 모아야만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전국 법학교수들 "조국 일가는 희생양"…李대통령에 광복절 특별사면 요청
첫 회의 연 국민의힘 혁신위, "탄핵 깊이 반성, 사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