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90년 이후 13년만에 '조직폭력배와의 전쟁'을 선포, 6개월동안 대대적인 검거작전에 들어간건 다소 때늦은 감은 있지만 적절한 조치로 이번만은 반드시 그 뿌리를 캐내야 한다.
그동안 약 1만7천여명의 조폭이 구속, 수감됐으나 최근년들면서 만기출소로 거의 석방돼 이미 전국에서 거물 조폭만도 400여개파에 1만1천여명이 조직을 재건, 활개를 치고 있다는 게 검찰의 분석이다.
이는 우리나라 20세 이상 남성 1천500명당 1명꼴이 조폭이라는 셈인데 가히 '조폭공화국'이란 오명(汚名)을 들을만도 하다.
특히 영화나 드라마에서 조폭의 이미지가 남성적 매력인 주먹과 돈을 멋대로 주무르는 매력의 주인공으로 미화(美化)되고 있는 것도 결국 조폭에 대한 경계심을 해이하게 만들고 일부 청소년층을 조폭의 잠재세력으로 흡인시키는 요인이 되는 '비뚤어진 사회현상'에 대한 점검도 차제에 짚고 넘어가야 한다.
오늘날의 조폭은 이권과 돈이 되는 사업엔 끼어들지 않는곳이 없다고 할 정도로 이미 기업화 하고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특히 최근엔 구입이 손쉬운 갖가지 총기로 무장하고 일본의 야쿠자, 러시아 마피아, 홍콩의 삼합회(三合會) 등 국제조직과의 연계로 이른바 국제화하면서 세력을 점차 키우는 경향도 간과할 일이 아니다.
그러면서 마약, 매춘, 연예산업, 사채 등으로 이미 상당한 부(富)를 축적, 합법적인 기업인으로 변신, 정치권 등에 '돈줄과 주먹'을 대며 방패막이로 삼을 정도로 급성장하고 있는 게 그 실상이다.
문제는 이렇게 성장하는 과정에서 살인·폭력 등은 말할것도 없고 우리경제를 좀먹는 세력으로 그냥두면 궁극적으로 건전한 기업활동이 불가능해질 정도로 그 폐해가 크다는 점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따라서 검찰은 이미 조폭들의 상당수가 단속낌새를 알고 지하로 숨거나 외국도피에 들어갔다는 점에 유의, 일시적 전쟁선포로 끝낼게 아니라 상시단속으로 근절시켜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또 차제에 조폭으로 흡수될 성향이 짙은 단순 청소년폭력배들도 함께 단속, '조폭의 외연 확대 세력'을 아예 차단하는 방안까지 병행해야만 장기적인 근절대책이 된다는 사실을 유념해야 할것이다.
필요하다면 조폭에 대한 형량을 높이는 등의 법적 뒷받침도 함께 강구하는 등 종합대책이 절실함을 제언코자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첫 회의 연 국민의힘 혁신위, "탄핵 깊이 반성, 사죄"
[홍석준 칼럼] 우물안 개구리가 나라를 흔든다
전국 법학교수들 "조국 일가는 희생양"…李대통령에 광복절 특별사면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