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사람의 작품이 Best와 Worst에 동시에 뽑힌 것 자체가 흥미롭다.
Best4에 선정된 '무지개'(KT봉덕지점 앞), Worst4에 선정된 '영원한 빛'(대구MBC앞)과 대구시 상징조형물 '독수리상'(대구시청앞)의 작가는 이상일(51.대구가톨릭대 조소과)교수다.
그는 돌로 자연미 넘치는 추상작품을 추구, 젊은 시절부터 유명세를 탄 조각가다.
명성 만큼이나 환경조형물에 그의 작품이 많다.
대구시내 큰 조형물만 해도 20점에 가깝다.
대구시내 관공서.기관, 큰 빌딩 앞에서는 그의 작품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삼성금융플라자, 대백프라자, 하나로통신 대구지사, 한빛은행 대구지점, 한국도로공사 경북지역본부, 대구호텔, 롯데마그넷, 이서공원, 교원공제회관, 이상화 동상….사실 그의 작품이 Best.Worst에 동시에 뽑힌 것은 '작품이 너무 흔하기 때문'이라는 게 중론이다.
뛰어난 작품성에도 불구하고, 시민들의 눈에 익은데다 흉내낸 작품까지 범람, 큰 점수를 받지 못했다는 얘기다.
한 작가는 "얼마전까지 그에게 조형물 주문이 폭주, 그의 작품답지 못한 것도 있다"고 전했다.
KT봉덕지점앞의 '무지개'(1993년)는 양쪽에 4명의 여성이 둥글게 손과 손을 맞잡는 형태로 따스한 느낌을 주는 수작이다.
이를 Best작품으로 뽑은 한 미술가는 "건물과 잘 어울리고 조형적으로 완벽하다"고 평가했다.
대구MBC앞의 '영원한 빛'(2000년)은 여러개의 돌 기둥을 높다랗게 세워놓은 방식인데 시민들에게 큰 인상을 주지 못하는 듯하다.
언론사의 이미지를 전혀 느낄 수 없고 동일한 조형 형태를 반복 사용했다는 게 worst에 뽑힌 이유. 제작비 1억5천만원.
대구시청 앞에 서있는 대구시 상징물 '독수리상'(1996년)은 건립 당시부터 적잖은 논란이 있었다.
대구사람들의 기상을 보여주기에는 다소 부족하고 실물과 비례가 맞지 않다는 게 그 이유. 한 미술가는 "대구시청 2층 시장실 앞 복도에 있는 독수리 박제와 한번 비교해보면 선정이유를 알수 있다"고 말했다.
그가 만든 조형물 중 대구백화점앞 조형물, 이상화 동상을 베스트 작품으로 꼽은 이들도 꽤 있었지만 순위에는 들지 못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첫 회의 연 국민의힘 혁신위, "탄핵 깊이 반성, 사죄"
[홍석준 칼럼] 우물안 개구리가 나라를 흔든다
전국 법학교수들 "조국 일가는 희생양"…李대통령에 광복절 특별사면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