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당대표 경선에 나선 강재섭 의원은 10일 "심사숙고하는 이미지만 좋은 게 아니더라"며 "흙탕물을 덮어쓰고 상처를 입더라도 뛰어들어 내 나름의 정치철학을 내세우고 싶다"고 의지를 다졌다.
강 의원은 공식 선거운동을 시작하기에 앞서 "대구·경북 지역민들도 남을 도와주는 '어시스트 정치' 보다 직접 '골잡이'가 되라고 해 경선에 나섰다"며 "젊은 리더십으로 당 체질과 면모를 일신하겠다"고 말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 당 대표 경선을 준비하며 가장 힘든 점이 무엇인가.
▲뛰어보니 전국 지명도가 낮아 아쉽다.
다른 후보들은 지역구가 서울이어서 인지도가 높더라. 또 대선 후보 경선에 나온 분도 있고 어떤 분들은 비주류로 당을 흔들면서 인지도를 높인 분도 있다.
짧은 기간동안 캠페인 해 '강재섭'이라는 상품을 팔아먹는 게 그렇게 쉽지만은 않다.
- 제2창당 선언의 골자와 배경을 설명해 달라.
▲대표가 되면 한 달 내에 원내외 인사가 참여하는 '제2창당 준비위원회'를 구성하겠다.
수구정당의 이미지, 노쇠하고 권위주의적이며 작은 전투에는 이겼으나 큰 전쟁에는 두 번이나 진 패배의 이미지를 씻어내야 한다.
- 대표가 되면 내년 총선에서 승리할 자신은 있는가.
▲총선에 이기기 위해 경선에 나왔다.
와글와글, 장이 서는 당을 만들 것이다.
- 민주당의 신당논의에 대해서 어떻게 보는가.
▲지난해 민주당은 전국을 돌며 후보를 뽑고 하는 마케팅이 결국 성공한 것이다.
지금도 마찬가지다.
노무현 대통령 들러리 서주는 정당을 만들면서 신당이란 이름을 붙여 계속 연말까지 끌고 갈 것이다.
- 싱싱하다는 점을 내세우지만 일부 후보로부터 '과거에 뭐했냐'는 비판도 듣는다.
▲이제 와서 '과거에 이랬고 저랬다'고 시비하는 것 자체가 노무현식 이분법적 사고다.
투쟁하고 감옥간 게 개혁이라면 나라를 경영하고 운영하는 것이 반(反)개혁이란 말인가. 그것은 독선이다.
- 타 후보에 비해 개혁적이라고 주장한다.
어떤 면에서 그런가.
▲13대 국회시절 여성계의 숙원인 가족법 개정운동에 대해 '남녀평등은 헌법의 기본정신이며 여성의 권리신장에 과감한 개혁이 있어야 한다'고 적극 호응, 여성단체로부터 감사패를 받기도 했다.
또 지난해 국회 정개특위 위원장을 하며 당내 반발을 무릅쓰고 여성 공천비율을 높여 민주당 보다 한나라당이 여성참여에 적극적이라는 소릴 들었다.
- 귀공자 타입의 유약한 이미지를 지적하는 이들도 있다.
▲솔직히 강하다는 이미지가 무슨 뜻인지 모르겠다.
오히려 지인들로부터 '유연하고 속살이 깊다'는 얘길 듣는다.
소신껏 주관을 갖고 정치를 해왔다고 자신한다.
- 대표가 되면 내년 공천 과정에서 TK의 물갈이가 요원할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대표가 공천을 정하지 않는다.
당헌 개정을 통해 국민참여형 상향식 공천 원칙을 정한 바 있다.
지구당 위원장이 내세운 대의원에다 국민 몇 명을 끼워넣는 눈감고 아웅하기식 공천은 없을 것이다.
시대흐름에 따라 결정해야 한다.
- 대표가 되면 지역구(대구 서구)를 내놓는 것도 전국 정당화를 위해 바람직하다는 권유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정치는 뿌리가 있는 것이다.
지역구를 자꾸 옮겨다니면 '지역구 철새'라는 말을 듣게 된다.
노 대통령도 그런 방법을 쓰기도 했다.
물론 당에 도움이 된다면 수도권이나 호남으로 지역구를 옮길 수 있다는 각오도 하지만 이벤트 하듯 반짝 쇼를 해선 안된다.
또 대구경제가 어렵고 지하철 사고도 있어 굉장히 침체되어 있다.
지역구를 지키고 대구의 어려운 고비를 이겨내는 것이 정도의 정치다.
- 노 대통령과 코드가 맞다고 했다.
▲노 대통령이 싱싱하게 보여 코드가 맞다고 했는데 채널은 전혀 맞지 않다.
노 대통령은 감성을 자극하는 대중 선동가적 자질은 가지고 있으나 속살이 탄탄한 경륜 있는 지도자감은 아니더라.
- 아들의 병역문제가 도마위에 올랐었다.
▲지난달 26일 군 훈련소에 입영한 상태다.
내가 군에 보내려고 노력해도 안됐는데 아들이 노력해 군에 갔다.
대담=서영관 정치2부장 seo123@imaeil.com
정리=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방위병 출신 안규백 국방장관 후보자, 약 8개월 더 복무한 이유는?
첫 회의 연 국민의힘 혁신위, "탄핵 깊이 반성, 사죄"
전국 법학교수들 "조국 일가는 희생양"…李대통령에 광복절 특별사면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