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터지 코미디는 할리우드에선 빈번하게 만들어지는 장르다.
'죽어야 사는 여자'처럼 상상 속의 이미지를 현실 속에 반영시키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
'역전에 산다'도 현대 소시민의 '대박' 꿈을 현실로 풀어냈다.
로또라도 당첨돼 인생을 바꿨으면 하는 심리를 스크린에 투영시켰다.
주니어 골프 대회를 모두 휩쓸었던 골프 신동 강승완(김승우)은 어머니가 돌아가신 뒤 골프를 그만두고 별 볼일 없는 증권 회사 직원으로 살아간다.
직장 내에서 그다지 인정받지 못하는 그는 고객으로 유치하려고 했던 돈 많은 '누님'을 그만 동료 직원에게 뺏기고 만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조폭 마강성(이문식)의 자금까지 날려버린 강승완, 그는 이제 잃을 것도 없다.
그런데 막가자는 심정으로 터널을 질주하던 그에게 새로운 인생이 펼쳐진다.
눈을 떠 보니, 모두들 그를 '프로 골프 선수 강승완'이라고 부르는 게 아닌가. 거기다가 한지영(하지원)이라는 번듯한 여자가 아내라고 우기니, 이게 바로 말로만 듣던 인생 역전?
'라이터를 켜라'의 김승우는 특유의 어벙한 몸짓으로 두가지 캐릭터를 연기한다.
전반부는 악전고투, 고군분투하는 소시민, 후반부는 로맨스가 부각된다.
사람들이 한탕주의에 빠질 것을 우려한 제작진의 '친절한' 교훈성 훈계와 돈, 명예, 여자까지 차지한 달착지근한 욕망이 한 영화 속에서 흔들린다.
관객은 웃어야 할지 울어야 할지 흔들리고, 보고 나서도 재미있었는지, 재미 없었는지 갸웃거려진다.
태생적 한계가 세속적이고, 상투적이다 보니 감독으로서 그리 여지가 없어 보인다.
박용운 감독도 "장르에 대한 시행착오가 분명 있었던 것 같다.
어느 부분은 성공한 것 같고, 어느 부분은 실패한 것 같다"고 솔직한 심정을 토로했다.
15세 관람가. 110분.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홍석준 칼럼] 우물안 개구리가 나라를 흔든다
전국 법학교수들 "조국 일가는 희생양"…李대통령에 광복절 특별사면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