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 시외버스터미널 이전 예정지 주변지역에 부동산 투기 조짐이 일고 있다.
예정지 선정을 두고 난항을 겪던 안동시외버스터미널 이전 계획이 올해 상반기 안동시 도시기본계획에 의해 안동시 송하동 일대로 지정돼 주민공청회가 열리는 등 구체화되자 예정지 주변 개발 이익을 기대한 토지매입 움직임이 가열되고 있는 것이다.
터미널 이전 후보지인 안동시 송하동 '호암' 마을은 전역이 투기 대상이 돼 땅값이 들먹이고 있다.
주민 박모(68)씨에 따르면 "지난달부터 땅을 사려는 외지인들이 대거 몰리면서 수년간 별다른 변동없던 땅 값이 급등했다" 고 말했다.
실제 이 마을 입구인 솔티거리 주변은 지난해말까지 1평당 60만∼80만원하던 대지와 잡종지가 최근 실거래가격으로 120만원대, 마을 중심부 비닐하우스단지 일대 농경지도 20만원선에서 40만원대로 뛰었다.
이 때문에 주민들이 향후 땅값 추가 상승에 대한 기대로 외지 이주 등 불가피한 경우가 아니면 매물을 내놓지 않자 땅을 사려는 사람들이 인접한 노하동 일대까지 손길을 뻗쳐 이곳 땅값도 덩달아 오르고 있다.
특히 노하동 일대는 송하동에 터미널이 이전될 경우 부도심 개발지역으로 부상될 것이 예상되면서 대로변 택지나 준농림지 땅값이 하루가 다르게 치솟아 일부 지역은 올초 보다 2배 이상 올랐다.
한편 이같은 땅값 상승은 안동시가 확보할 예정인 터미널 부지 6천여평 전체가 사유지라는 점에서 고스란히 안동시의 재정부담으로 작용해 자칫 터미널 이전에 심각한 차질이 빚어질 수도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안동시의 터미널 이전 부지 확보와 시설 설치 계획에 따르면 재정부담을 감안, 민자를 유치해 공동개발할 방침이나 땅값 상승 추세가 꺾이지 않을 경우 부지 매입비만 수십억원이 소요돼 사업시행 자체가 어렵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안동시 담당자는 "터미널 이전 예정지가 구체적으로 확정되지 않은 상황인 만큼 현재의 주변 토지거래 상황은 투기성 가수요로 보인다"며 "터미널 부지는 도시계획법상 지정고시후 수용하는 절차를 거치기 때문에 섣부른 땅 매입은 오히려 큰 손해를 볼 수 있다" 며 자제를 촉구했다.
안동·정경구기자 jkgoo@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홍석준 칼럼] 우물안 개구리가 나라를 흔든다
전국 법학교수들 "조국 일가는 희생양"…李대통령에 광복절 특별사면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