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임안 상정의 위기까지 몰렸던 윤덕홍 교육부총리의 거취문제가 한풀 꺾인 데는 대구 출신인 윤영탁 국회 교육위원장의 중재 노력이 컸던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교육위 소속 지역의원들이 대구 출신 윤 부총리를 적극 감쌌기 때문에 가능했다는 지적이다
한나라당 의원총회가 열렸던 지난 5일 윤 위원장은 의총에 앞서 교육의원들을 모두 불러 모았다 윤 부총리 해임안 상정문제를 논의하기 위해서였다. 찬반 논란이 거세게 일었고 특히 김정숙 의원이 국정혼란을 이유로 들어 해임안 처리를 고집했다.
그러나 윤 위원장은 "윤 부총리가 오락가락한 것은 청와대 문재인 수석과 민주당 이미경 의원 때문"이라고 했고 여기에 소신파인 현승일 의원도 가세했다. 또 이날 모임에는 불참했지만 박창달 의원도 해임안 유보 뜻을 전했다. 결국 강경파인 김 의원도 한발 물러서 해임안 상정을 미루기로 전체적인 의견을 모았다.
이어 열린 의총에서 권철현 의원은 교육위원들의 결정을 전하며 "해임안이 처리되면 원내 1당이 오만하게 비춰질 수 있다. 교총과 전교조간 갈등이 큰만큼 이를 중재할 수 있는 시간을 줘야 한다"고 말했다.
여기에 박승국 의원이 발언을 신청, 동향의 윤 부총리를 '엄호'했다. 박 의원은 "국무위원을 해임할 경우는 범법 행위를 저질렀거나 국민들에게 큰 피해를 줬을 때에 한 한다. 그러나 그런 잘못이 없었고 대통령의 책임을 윤 부총리가 왜 져야 하느냐"고 주장했다.
박 의원 발언 이후 유보 의견이 봇물을 이뤘다. 남경필 의원도 유보를 주장했고 안상수 의원 역시 "해임안을 처리하되 시기는 더 두고보자"며 유보의견을 내놓았다.
반면 이인기 의원은 "국정혼란의 책임이 있는 만큼 경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유보의견이 다수를 이뤄 결국 해임안 상정 유보가 당론으로 채택됐다.
윤 위원장은 "교육계의 갈등을 방치해서도 안되지만 중재노력을 지켜봐야 한다"며 "국익차원에서 해임안 유보를 결정했다"고 말했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李 '이진숙, 문제있는 것 같아 딱하다' 언급"…정규재 전언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전국 법학교수들 "조국 일가는 희생양"…李대통령에 광복절 특별사면 요청
첫 회의 연 국민의힘 혁신위, "탄핵 깊이 반성, 사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