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후의 노동운동은 극심한 이념적 양갈래였다.
대한 독립촉성 노동총연맹(대한노총)과 조선노동 조합 전국평의회(전평). 해방 이듬해 46년 메이데이 기념식도 물론 따로 치렀다.
대한노총은 육상경기장에서, 당시 조선노동조합 전국평의회는 서울운동장 야구장 옆에서 행사를 치루었다고 한다.
우리나라 최초의 노동절 행사는 일제 강압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1923년 실시한 행사는 조선노동 총연맹의 단독 주최였다.
해방이후 노조 양대 조직의 치열한 영향력 확대 다툼은 말이 세력다툼이었지 '타도' 양상이라는게 적합한 표현이다.
전평과 대한노총의 운명은 미군정의 대한노총에 대한 적법한 단체 인정으로 결정이 난다.
전평을 불법단체로 삼은 것이다.
정치색을 띤 노조는 일체 정당한 단체로 인정하지 않겠다는 미군정의 태도 표명으로 세력 경쟁은 사실상 종지부를 찍었다.
정부수립이후 노조의 상급단체는 한국노총이 유일한 단체가 됐다.
한국노총의 활동도 그렇게 순탄치못한 것이었다.
90년대 이전의 역대정부의 억압적 행태에 몸살을 앓았다고 봐야 한다.
박정희 대통령의 '유신체제'하에서는 쟁의.쟁의행위란 표현도 마음놓고 못할 형편이었다.
노동관계법이 개정됐고 노조형태도 단위노조로 바뀌었다.
현재 노동계를 양분하고 있는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의 세력 판로가 바뀌어질 전망이다.
지난 95년 창립이후 영향력 확대에 총력을 기울인 민주노총의 '맏형 등극'이 초읽기에 들어섰다는 평가다.
최근 전국 지하철 노조의 상급단체 변경 투표도 계기가 된 것이 아닌가 싶다.
서울도시철도공사노조와 대구, 인천지하철 노조가 상급단체를 한국노총에서 민주노총으로 바꾼 것이다.
이들 노조의 '민주노총행'은 지난해 철도노조(조합원 2만1천500여명)의 상급단체변경에 이은 것이어서 다른 산별연맹등에 영향력을 끼칠것으로 보인다.
2001년 현재 민주노총의 조합원은 64만3천여명, 한국노총 87만7천여명으로 집계돼 있다.
양대 노총의 판도 역전은 공무원노조의 허용이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소위 '전국공무원 노동조합(전공노)'의 조합원 8만5천명이 '민주노총에 가입하면 한국노총의 맏형자리 고수는 힘든다는 분석도 나온다.
조직판도의 역전은 당장 민주노총의 교섭력 강화와 한국노총의 약화를 가져온다.
정부라든지 경영자단체등과의 대화에서도 위상의 변화를 체험하게 될 것이다.
더욱 현실적인 일은 예산에 큰 영향을 준다.
조합원이 늘어 난쪽은 하부조직에서 내는 조합비가 불어나 운영에 숨통이 터일것이다.
이런 저런 이유로 양대노총의 경쟁이 더욱 숨가쁘게 전개될것은 분명하다.
설득력있는 양대 노총의 활동을 기대한다.
최종진 논설주간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홍석준 칼럼] 우물안 개구리가 나라를 흔든다
전국 법학교수들 "조국 일가는 희생양"…李대통령에 광복절 특별사면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