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건 총리가 국정운영의 '핸들'을 쥐겠다고 한다.
총리가 주재하고 해당 장관들과 대통령 비서실장·관계 수석비서관 등이 참석하는 국정조정회의가 신설돼 오늘 그 첫회의가 열린다고 한다.
그동안 '무책임 총리'처럼 소용돌이의 뒷전에 밀려 나 있던 총리가 "필요하면 장관 해임건의도 하겠다"고 목청을 높인게 의아하긴 하나 '책임행정' 하겠다는데 나무랄 이유가 없다.
다만 화물연대·교육부사태 등으로 몰매맞아온 청와대가 국무총리를 앞세우겠다면 이번엔 확실하게 앞세우라고 요구하고 싶다.
열쇠 맡겨 놓고 브레이크 밟지 말라는 얘기다.
대독(代讀)총리 노릇은 안하겠다고 공언해온 고총리의 그동안의 처신과 능력을 보면 '행정의 달인'이라는 칭찬이 무색할 지경이다.
아무리 '튀는 대통령'밑에서 어쩔 수 없었다지만 노력의 결과물은 뚜렷한 게 없기 때문이다.
청와대 참모들의 목청이 크다고 내 목청 죽인 건 국민의 눈에 소극총리·보신총리의 처세술로 보일 수밖에 없다.
한편으로 총리를 무력증에 빠뜨린 결정적 원인이 대응시스템의 정지에 따른 청와대의 '문어발 행보'에 있음을 꼬집지 않을 수 없다.
노 대통령의 국정 철학이 제대로 전파되지 않은 상황속에서 화물대란·NEIS 같은 대형분규가 터졌고, 마음급한 청와대 참모들이 안챙기는 척하며 다 챙겨버렸으니 총리로서야 앙앙불락(怏怏不樂)인들 어찌할 것인가. 휘하의 몇몇 장관들마저 총리를 젖혀놓고 "어찌 하오리까"대통령 눈치보기에 급급했으니 그 보드라운 고 총리도 자존심이 상했을 터이다.
고(高)내각 100일의 실패를 거울삼아 총리께서 직접 내각 장악 의지와 함께 국정현안 해결의 전면에 나서겠다니 반갑다.
시스템 부재(不在)에 온갖 혐의를 다 떠넘겼던 그 시스템도 '국정현안 정책조정회의'로 길을 열었으니 이제부턴 둘러댈 핑계도 없을 터이다.
고 총리는 약속대로 말썽장관, 신망잃은 장관에 대한 '해임건의'의 칼을 단 한번이라도 써먹는 모습을 보여주길 기대한다.
청와대 참모들도 이제 더 이상 국정표류를 "정권 초기의 과도적 현상"이라고 변명하는 사태가 없어야 겠다.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홍석준 칼럼] 우물안 개구리가 나라를 흔든다
전국 법학교수들 "조국 일가는 희생양"…李대통령에 광복절 특별사면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