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춘추-고정관념 깨기

입력 2003-06-03 09:39:14

'파괴'라는 단어의 이미지는, 말 자체만 놓고 볼 때 긍정적인 면보다 부정적인 측면이 더 강하게 다가온다.

이 단어에서는 뭔가의 구축(構築)되어 있는 것을 무너뜨리거나 덩어리가 있는 것을 깨뜨리는 것이 연상된다.

말 자체를 뜯어보면, '파(破)'는 '깨뜨리다', '괴(壞)'는 '허물어뜨리다'는 뜻이니, 이는 곧 '덩어리가 있는 것을 깨뜨리고 허문다'는 말이다.

그러나 인류의 역사를 살펴보면, 흥미롭게도 기성 세대의 질서 및 고정 관념들을 허물고 깨뜨린 것에 대한 내용들만이 기록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리고 그 역사는 깨뜨린 자의 무용담이라고도 할 수 있다.

마치 단단한 호두껍질을 깨뜨리듯 어떤 틀을 깨뜨리게 될 때, 우리는 비로소 껍질 속에 감춰져 있던 적나라한 속살을 끄집어 낼 수 있다.

그러므로 파괴는 틀을 부수는 일이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틀 속에 감추어져 있는 알맹이 또는 진실을 끄집어내는 일이기도 하다.

그런 측면에서 본다면, 파괴는 새로운 세계를 열게 하는 열쇠라고도 할 수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석기시대'나 '청동기 시대' 그리고 '철기시대'라는 말이 그것을 잘 증명해 주고 있다.

시원 문화에서 어떤 사람이 흔한 돌멩이 하나를 집어들었다.

그 순간 돌멩이는 도구나 무기로 바뀌었으며, 이로써 돌에 대한 고정 관념은 깨어지고 말았다.

석기 시대의 사람들은 그 돌멩이를 깨뜨려서 돌칼을 만들었다.

사람들은 돌 속에 감춰져 있던 날카로움을 발견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청동 및 철기 시대에는 '돌칼'이라는 물질 및 그 고정 관념을 깨뜨리고 용해시킴으로써 그 속에 들어있던 청동이나 철을 얻어내게 되었다.

물론 이로써 청동검이나 철검을 만들 수 있었다.

그리고 오늘날 최첨단 과학에서는 그것마저 깨뜨려서 물질적 외형이 없는 '레이저 검'을 사용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변화의 과정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인다면, '파괴- 깨뜨리기'는 부정과 긍정의 차원을 넘어 새로운 세계 및 시대를 열어 내는 열쇠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고정 관념을 깨뜨리지 않으면 현상 유지는 할 수 있겠지만, 새로움에 대한 갈망과 새롭기를 원하는 자의 꿈은 실현될 수 없다.

한국선사문화연구소 소장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