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인구비 92%를 차지하는 '한족(漢族)'과 55개 소수민족으로 구성된 다민족 국가다.
12억 중국에서 소수민족이 차지하는 인구비율은 6.7∼8.2%. 그러나 이들은 중국의 남쪽과 서쪽, 북쪽까지 변방 지역에 걸쳐 살지만 전 국토의 63%에 이르는 큰 면적에 퍼져 살아가고 있다.
-중국내의 소수민족 통치의 전반적인 상황은.
▲중국은 전제군주 치하에서도 소수민족에 대해선 고도의 자치를 구현하고 있었다.
소수민족의 지리적 특성이 경제적으로 자립이 어려운 척박한 환경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역할이 구분될 수밖에 없었다.
역할 분담은 지방정부가 대게 세금을 거두는 등 악역을 담당하는 것인 반면 중앙정부는 분배를 맡아왔다.
중앙정부 입장에선 변방에까지 영향력이 미치기에는 통치비용이 많이 들 수밖에 없었고 지방으로서도 독립하기에는 약했다.
소수민족 거주지가 경제적으로 후진 지역에 분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중국이 안고있는 최대의 소수민족 문제는.
▲신장(新疆) 위구르 자치구에 분포하는 위구르족의 분리 운동과 티벳지역이다.
미국에 대한 9.11 테러이후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미국의 군사행동에 중국이 침묵한 것도 위구르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여차하면 대테러전쟁으로 몰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국제사회의 이해관계와도 관련이 있나.
▲미국으로서는 동서 냉전체제이후 떠오르는 '중국 위협론'등 중국의 패권주의에 유일하게 견제할 수 있는 곳이 위구르 자치구다.
중국 내에서 민족분규를 야기시킬 수 있는 곳인 이곳을 지원해 중국의 중앙정부와 대립을 유도할 수 있어서다.
미국에서는 그런 의미에서 이 지역을 신장자치구라 부르지 않고 '동터키스탄'으로 부른다.
-신장 위구르 자치구와 티벳자치구에서 끊임없이 독립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해결방안은 있나.
▲외세가 개입하더라도 중국 중앙정부에서는 독립을 용납 않는다.
헌법에도 '각 민족 자치지역은 모두 중화인민공화국의 불가분의 일부이다' 라고 규정하고 있다.
다른 나라와 달리 전세계적으로 문제화되기가 어렵다.
변방에 위치한 소수민족 거주지는 지하자원의 보고다.
중국은 지난해부터 서부지역 대개발에 돌입했다.
국가기간산업으로 키우기위해선 중앙정부에서 집중적으로 개발할 수 밖에 없다.
소수민족의 불만이 표출되면 중국 중앙정부에서도 곤혹스럽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접근할 수 밖에 없다.
-중국의 소수민족에 대한 기본적인 정책기조는.
▲1984년 제6기 전국인민대표자대회에서 소수민족에 관한 법률의 집대성인 '민족구역자치법'을 제정해 시행하고 있다.
겉으로는 '소수민족에 의한 소수민족의 통치'를 내세우지만 궁극적으로는 중화민족에 동화시키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중국은 소수민족의 자결권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기본적으로 '융합정책'을 펴고 있다.
경제적·문화적으로 낙후된 소수민족지역에 개발을 위한 명목으로 한족이 많이 들어간다.
위구르지역도 한족이 더 많은 인구분포를 보인다.
-중국은 조선족 문제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고 있나.
▲중국은 조선족 문제에 대해서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조선족은 토착 소수민족이 아니면서도 유일하게 모국어를 가지고 있는 민족이다.
문화적 수준도 높을 뿐만 아니라 한반도와 지리적으로도 가깝다.
한반도 통일이후 영토문제 등이 불거질 수 있기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역설적으로 한국의 경제적 번영이 조선족의 소멸을 유도하는 측면도 있다.
이때까지 조선족은 집단 부락을 형성해 동질성을 유지해왔다.
그러나 중국이 남한과의 관계가 강화되면서 경제적인 이유로 한국과 중국내 한국투자기업이 있는 대도시 등으로 흩어져 중국입장에선 잠재적 걱정거리를 완화시켜준 셈이 됐다.
대담.정리=박운석기자 stoneax@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홍석준 칼럼] 우물안 개구리가 나라를 흔든다
전국 법학교수들 "조국 일가는 희생양"…李대통령에 광복절 특별사면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