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개의 산맥을 타넘어야
네게 이를 수 있니
불개미 한 마리가
플라스틱 장미 꽃잎을
한잎 한잎 타넘어가고 있다
어떻게 등불을 빨아먹을 수 있니
나방이 한 마리
혓바닥을 바늘처럼 곤두세우고
한밤내 가로등을 찔러보고 있다
김혜순 '서울의 밤' 중
개미가 플라스틱 장미꽃을 넘어가고 나방이 덧없이 가로등을 찔러봐도 살아 있는 서울의 몸을 찾을 수 없다.
이 시는 이런 우화를 설정해 인공 시설물로 된 서울의 죽은 밤을 꼬집고 있다.
시니시즘의 허무가 깔려 있지만 시적 표현은 익살로 되어 있다.
젊은 시인들이 지닌 역설적 톤의 한 풍경이다.
권기호 (시인, 경북대 명예교수)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