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아파트재건축 부추기기 기승

입력 2003-05-01 11:47:19

요즘 대구지역 부동산시장을 보면 과히 우려할만한 상황이다. 일반 아파트를 비롯한 전체 부동산가격은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데 재건축을 앞둔 아파트는 새로 입주한 동일 평형대 아파트 못지않는 시세를 형성하고 있다. 재건축 기대감으로 가격거품이 일고 있는 것이다.

서울지역의 시행사들이 내려와 입주민을 상대로 재건축추진을 부추기고, 대형건설사들이 재건축 수주를 위한 방법으로 조합원들에게 높은 보상가격을 제시하다보니 어쩔수 없이 분양가격을 높이면서 전체 아파트 가격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재건축아파트(33평형 기준)의 예상 분양가격은 시세(1억4~5천만원선)를 크게 웃돌고 있는데 수성구의 모 아파트에 대해서는 ㄷ건설이 2억2천만원의 보상가격을 제시했고 부구 복현동 모 아파트의 경우는 ㅅ업체가 1억6천850만원의 분양가격을 제시한 상태다.

모 재건축 컨설팅사에 따르면 대구시내에서 수주전을 펴고 있는 건설사들이 시공수주를 위해 제안하고 있는 분양가격(33평형 기준)은 수성구 2억2천만원, 북구 1억7천만원, 달서구 1억9천만원, 서구 1억8천500만원선으로 형성돼 아파트 분양가격 급등을 부추기고 있다.

대구지역에는 현재 한화건설을 비롯 코오롱건설.삼성물산.대우건설.SK건설.LG건설.대림건설.대아건설.신성건설.월드건설.삼정.현대산업개발.두산건설.롯데건설 등 전국의 대형 건설사들이 대거 진입, 재건축 아파트 시공 수주전을 펼치고 있다.

이들 업체는 주거지역의 용도별 용적률 세분화를 규정한 '국토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과 재건축요건을 강화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이 시행되기 전에 사업물량을 충분히 확보해 놓자는 욕심에서 시공 수주에 발벗고 나선 상태.

오는 7월부터 시행되는 두 신설 법을 적용받을 경우 재건축 요건이 되는 아파트가 크게 줄어드는 것은 물론 재건축이 가능한 단지의 경우도 용적률 축소로 인해 현재보다 수익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이처럼 재건축 아파트의 분양가격이 수요와 공급에 따라 적정선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건설사들이 수익성 확보를 위해 무리하게 올리고 있는 것이다. 아파트 시세를 기준으로 예상 분양가격을 책정한 뒤 적정선의 마진을 남기는 선에서 보상을 해주는 조건으로 재건축 시공수주를 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 보상을 해주고 그만큼 분양가격을 높여 수익금을 챙기고 있는 꼴이다.

문제는 높은 분양가격이 따지고 보면 조합원들에게도 득될 게 없다는 것이다. 10평형대 아파트를 주고 30~40평형대 새 아파트를 분양받을 경우 늘어나는 면적에 대해서는 높은 분양가격으로 추가부담을 해야하기 때문이다. 결국 헌집 주고 새집을 사는 꼴이 되고마는 것이다.

더구나 무분별한 아파트재건축은 집값상승 외에도 국가적인 자원낭비, 대량의건축폐기물 발생에 의한 환경오염, 재건축지 교통난 가중, 전세난 유발 등 대량발생 등 상당한 부작용을 가져온다는 점을 감안, '20년 이하 아파트의 재건축 금지' 등 강경한 행정집행이 요구되고 있다.

황재성기자 jsgold@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