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도심과 외곽의 대기오염도 차이는 어느정도일까. 대구시 보건환경연구원이 도심 지역과 시 외곽지의 오염도를 비교 측정한 결과 도심 오염도가 외곽에 비해 최대 4배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달 11일부터 8일간 팔공산 공원관리사무소 부근에서 이산화질소, 아황산가스, 오존,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물질 농도를 측정한 결과, 각각 0.008ppm, 0.0015ppm, 0.048ppm, 35㎍/㎥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수창.대명.복현.만촌.노원.갈산.율하동 등 대구도심 7개 지역을 측정한 평균치는 각각 0.029ppm, 0.005ppm, 0.025ppm, 56.8㎍/㎥을 기록했다. 도심의 경우 시외곽에 비해 이산화질소는 3.6배, 아황산가스는 3.3배, 미세먼지는 1.6배 정도 대기오염도가 높았다. 반면 오존의 경우 시 외곽이 오히려 도심지역에 비해 2배 가까이 높았다. 이는 오존의 경우 산화질소와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 등이 자외선과 반응하면서 나타나기 때문에 자외선 영향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는 외곽지역이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또 미세먼지 농도의 경우 가장 낮은 날은 팔공산 16.6㎍/㎥으로 가장 높았던 도심의 80㎍/㎥과 큰 차이를 보였다.
도심 각 지역별 대기오염도 차이도 컸다. 지난해 지역별 대기오염도 평균을 산출한 결과 미세먼지의 경우 수창동이 75㎍/㎥로 가장 높았고, 만촌동이 58㎍/㎥로 가장 낮았다. 오존의 경우 지산동 0.022ppm, 노원동 0.013ppm으로 각각 최고.최저치를 나타냈다. 이산화질소는 대명.복현동이 0.027ppm로 가장 높은 반면 노원동이 0.014ppm로 가장 낮았다.
신천대로, 동로 등 신천수변둔치의 오염도는 차량통행 과다에 따른 우려와는 달리 시민들이 산책.운동하기에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천변을 여름.가을.겨울 3계절에 걸쳐 각각 7일씩 대기오염도를 측정한 결과 이산화질소 0.0347ppm, 아황산가스 0.0041ppm, 오존 0.0148ppm, 미세먼지 73㎍/㎥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세먼지외엔 환경기준을 초과하지 않는 수치고, 다른 지역에 비해 비슷하거나 낮은 수준이었다.
시보건환경연구원 홍성희 과장은 "신천수변둔치의 경우 대로변과의 사이에 벽이나 일정정도 거리가 있고, 수목, 물 등으로 인해 차량 배출가스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은 것 같다"고 분석했다.
신천변의 대기오염도는 여름철이 가장 높았고, 겨울철이 가장 낮았다. 또 하루중 출.퇴근시간대의 오염도가 높았는데, 여름에는 오후, 겨울에는 오전의 오염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호준기자 hoper@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