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 소선거구제가 유지되더라도 선거구의 인구편차 조정에 의한 인구하한선 변화에 따라 경북지역 국회의원 선거구가 크게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인구하한선을 10만으로 할 경우는 몰라도 11만으로 한다면 대구는 중구만 통합 대상일 뿐 기존 선거구의 틀은 거의 유지되는 반면 경북은 과소 인구 지역이 너무 많아 대대적인 조정이 불가피하다. 전체 선거구 숫자에서는 1, 2개 정도 줄어들지만 선거구 조합 자체는 16대 총선과는 많이 달라진 양상을 띨 것으로 보인다.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인구하한선은 주로 10만 내지 11만이다. 하지만 국회의원 숫자를 마냥 늘릴 수도 없고 비례대표의 숫자를 확대하자는 추세를 감안할 때 지역구의 숫자는 현행 227개에서 크게 늘어나지 않는 선에서 하한선이 책정될 가능성이 더 높다. 그점에서 11만명선이 더 유력하다.
이렇게 되면 하한선이 10만명이라도 조정이 불가피한 고령(36,321: 이하 16대 대통령선거 기준).성주(49,715) 선거구가 칠곡(105,109)과 통합이 유력하다. 벌써 두 지역의 현역 국회의원들은 경쟁을 시작했다.
의성(71,694).군위(30,153) 선거구 역시 10만명은 넘지만 11만명으로 잘릴 경우는 인근 지역과 통합이 불가피하다. 상정 가능한 조합은 영덕.영양과 조합을 이루고 있는 청송(32,667)을 받는 것. 그리고 영덕(48,728)과 영양(21,688)은 현재는 봉화와 한 선거구라 돼 있는 울진(64,309)과 합해 울진.영덕.영양 선거구로의 조정도 예상된다.
여기서 남는 봉화(40,300)는 생활권이 울진보다는 더 가까운 영주(126,789)와 통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선거구 조합의 변화는 단순히 선거구의 변화만 있는 것이 아니라 소지역주의 양상을 빚고 있는 복합선거구의 선거 결과 자체를 뒤바꿀 수도 있는 중대한 변화가 아닐 수 없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고려 요인은 인구수다.
고령.성주와 칠곡의 조합에서는 칠곡이 인구가 많아 유리한 측면이 있고 군위.의성.청송을 묶을 경우에는 의성이 중심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또한 그동안 청송.영양.영덕 선거구에서 주도권을 행사하던 영덕의 경우 울진.영양과 조합할 경우 울진에 주도권을 빼앗길 전망이다. 울진에 붙어있던 봉화 역시 영주와 다시 조합해야할 입장이다.
이동관기자 llddk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