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판신문은 관·언 유착고리" 청와대 이어 정부부처 절독 잇따라

입력 2003-03-01 12:09:26

참여정부가 △청와대 기자실 개방 △가판 구독 중단에 이어 △대통령의 언론사 창간 인터뷰 중단 방침을 밝혀 수십년간 계속돼 온 '정부 관행'을 파괴, 언론 문화에 큰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청와대 송경희 대변인은 28일 "노무현 대통령은 청와대 기자실 개방에 따라 취재 기자가 늘게 되면 언론사별 인터뷰를 지속하기 어렵다고 보고 의례적인 언론사 창간 인터뷰를 없애기로 했다"고 밝혔다.

대신 노 대통령은 미국 대통령처럼 춘추관에서 언론과 국민을 상대로 국민적 관심사나 자신이 사실관계 확인이 필요한 사안 등 국민에게 호소할 필요가 있는 현안에 대해 직접 브리핑한다는 것.

송 대변인은 "대통령의 국정활동과 구상을 적절한 시점에서 공개함으로써 투명한 국정운영과 참여정부의 정신을 실천하고 국민의 국정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이런 방침을 정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언론사의 기념행사 참석 여부는 일정을 고려해 사안마다 대통령이 직접 판단해 결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구상은 노 대통령이 국민을 설득해가며 국정을 운영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또 특정 언론이 국정 현안을 왜곡보도할 경우 대통령이 국민에게 설명해 국정 혼란을 막겠다는 적극적인 대처 의지도 담겨 있다는 분석이다.

한편 노 대통령이 오마이뉴스와 기자회견에서 가판 신문 구독 금지 방침을 밝힌 이후 청와대에 이어 정부 각 부처가 잇따라 가판 신문을 절독하고 있다.

청와대에는 27일자 가판부터 배달되지 않았으며 재경부와 산자부 등 각 부·처·청은 이달부터 잇따라 가판 구독을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다만 청와대 민정수석실은 여론동향 파악 차원에서 가판을 구독한다.

노 대통령은 가판신문 구독을 '기사 빼기 로비' 등으로 인한 정부와 언론간의 유착고리라고 판단하고 있다.

한나라당과 일부 중앙 언론사들은 이에 대해 "가판 구독 운운은 대통령의 품위에 맞지않다"고 비판하는 한편 "신문의 영향력을 줄이기 위한 음모"라고 의심하고 있다.

하지만 언론 학자들은 "가판이 중앙 신문사와 방송사간 기사 베끼기의 원인일 뿐 아니라 발행 경쟁에 따른 자원 낭비도 엄청나다"며 정부의 가판 절독에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학자들은 또 "전일자 신문 내용에 따라 다음날 정부 대책을 세워 정부가 언론에 끌려간 측면도 없지 않다"며 "가판 절독에 언론에 끌려가지 않겠다는 대통령의 의지도 반영돼 있다"고 풀이하기도 했다.

가판이란 가두판매의 줄임말로 대부분 중앙 신문사는 다음날 새벽에 배달될 신문을 전날 미리 서울과 일부 경기 지역에 판매하고 있다.

최재왕기자 jwchoi@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