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노트-독선적 인사 언제까지...

입력 2003-01-17 11:36:20

최근 단행된 군위군 인사가 시대 흐름에 부응하지 못했다는 여론이 높다.

이는 민선 3기 출범후 상당수 시.군 자치단체가 인사의 공정성을 높이기 위해 다면평가제를 도입하는 등 기존의 연공서열 관행을 과감히 깨고 있는 때여서 더 큰 불만을 사고 있다.

군위군이 지난 11일 시행한 5급 간부 3명의 승진을 포함한 인사를 두고 하는 말이다 . 인사 결과가 발표되자 공직자들은 실망감을 감추지 못했다.

승진 인사가 업무능력보다는 연공서열을 기준으로 해 한직에 있던 나이 많은 공무원의 택호를 바꿔주는 정실인사에 초점이 맞춰졌다는 평가 때문이다.

반면 5년째 한자리에 머물고 있는 총무.재무.건설과장 등 이권과 결부될 수 있는 요직과장에 대한 순환보직 여론은 무시했다는 지적이다.

개혁시대에 걸맞은 혁신적인 인사를 기대했던 주민과 공무원들은 "인사권을 가진 박영언 군수의 독선에 일할 의욕을 상실했다"며 "군수의 제왕적인 의식이 바뀌지 않는 한 진정한 지역발전은 어려울 것"이라고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특히 하위직 공무원들 사이에서는 "제왕적 의식에 사로잡혀 있는 군수의 독주를 막기 위해 미뤄왔던 직장협의회를 결성하자"는 분위기까지 확산되고 있다.

그런데도 박 군수는 "연공서열은 당연한 것이다"며 "불만있는 사람들은 공무원 자격이 없다"고 한마디로 일축해버렸다.

물론 군수의 인사정책이 무조건 잘못된 것이라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중요 과장에 대해 5년째 전보인사를 하지 않는 것도 전문성을 살린다는 차원에서 보면 오히려 장려할만한 일이다.

그러나 그것이 한곳에 오래도록 안주해 타성에 젖어 있는 공무원의 기강을 바로 세우고 침체된 공직 분위기에 새로운 활력소를 불어넣기 위한 보직순환의 필요성을 무시할 만큼 설득력을 가지지는 못했다는 여론이다.

이권과 관련될 가능성이 높은 인사.계약.사업발주 부서 공무원의 경우 보직순환을 통한 부정부패 유혹의 차단 노력이 더욱 절실하다는 게 대다수 주민과 공무원들의 시각이다.

각 자치단체마다 경쟁적으로 도입하는 인사개혁의 방안과 의미를 되새겨 군수가 여론을 귀담아 듣고 지역발전을 위한 올곧은 군정을 펼쳐주길 기대하고 있는 것이다.

정창구기자 사회2부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