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96년부터 전국에서 지역 특산품의 고부가가치 전략으로 추진된 공동상표사업중 대구의 '쉬메릭'이 선두로 품질향상과 함께 국내 및 외국시장에서매출을 늘려가며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대구시에 따르면 쉬메릭의 연도별 국내판매액은 1998년 37억5천500만원, 1999년 97억원, 2000년 126억원, 2001년 145억원,2002년(6월기준)86억6천900만원, 수출액은 1998년 374만달러를 시작으로 지난해 430만달러어치, 올들어 6월까지 153만달러 등4년반동안 1천114억달러의 수출실적을 기록하고 있다.
쉬메릭에는 1997년 지역의 15개 업체가 5개 품목(목공예.안경테.우산.양말)으로 참가, 1998년부터 매출이 발생되면서 현재는 18개 품목에 20개업체가 참가로 범위가 확대됐다.
대구시는 쉬메릭제품의 인지도 제고와 품질향상을 위해 품목별 참가업체수를 제한하는 한편 올해부터는 연 2회씩 생활용품시험연구원.의류시험연구원 등 전문품질검사기관에 의뢰, 샘플검사를 하는 등 엄격한 품질관리를 하고 있다.
이로인해 쉬메릭 인지도가 1998년 67.0%에서 2000년에는 83.4%로 높아지면서 판매점도 대구.경북.부산.경남지역 백화점에부터 전국의 홈플러스.까루프.농협하나로마트 등으로 확대된 가운데 내년부터 중소기업청이 지원하는 서울의 백화점(행복한 세상) 입점을 앞두고 있다.
최근 무역협회가 내놓은 '공동상표제도의 성패요인 분석보고서'에서도 지난해 200억원의 매출을 올린 대구의 쉬메릭과 22억원의 매출을 기록한 경북의 실라리안 등 일부상표를 제외하고는 공동상표사업이 부진하거나 중단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청의 공동상표 등록건수는 1996년 7건에서 1997년과 1998년 각각 6건, 1999년 1건, 2000년 3건에 그치고 있으며 작년 이후에는 전무한 상태다. 무역협회는 공동상표 실패요인으로 △보육기관의 지속적인 지원 △철저한 품질관리 및 품질개선 노력 △업체들의 적극적인 참여 △자금 △중기청의 지원 등 부족 및 미흡을 꼽았다.
황재성기자 jsgold@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