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념류 김장철 특수 '옛말'

입력 2002-11-18 12:17:00

본격적인 겨울 김장철을 맞았지만 채소.양념류 등 농산물 가격이 좀처럼 오를 조짐을 보이지 않으면서 '김장철 특수'가 사라지고 있다. 농협과 식품회사들의 포장 김치와 김치냉장고의 등장, 아파트 거주자 확대 등 신음식.주거문화가 자리잡으면서 김장담그는 집이 줄어들었기 때문.

매년 김장철이면 가격 상승효과를 톡톡히 누렸던 배추.무.고추.마늘 등 농산물들이 올해엔 약.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중국산 수입물량이 크게 늘어나면서 김장철을 앞두고 오히려 양념류의 값이 떨어지는 실정이다.

15일 안동.영양.청송 등지의 재래시장에서 거래된 김장재료용 건고추의 경우 600g당 한 근이 2천800~3천700원선으로 한달 전보다 300~900원 정도 떨어졌다. 청송농협 김영기 조합장은 "국내산 작황부진으로 상품성이 떨어지고 최근 중국산 냉동고추 및 혼합양념(다대기) 수입이 크게 늘어난 탓"이라고 말했다.

또 고추 주산지인 영양지역에서 중국산 냉동고추 200여t을 건조하는 바람에 소비자들의 불안심리를 부추겨 산지 고추값 하락의 원인이 되고 있다. 올해 중국산 냉동고추 수입량은 건고추로 환산한 중량은 826t으로 지난해 9월 173t보다 약 5배 증가했다.

배추도 중품 한 포기당 1천100원선에 거래돼 1주일 전보다 300원 이상 떨어졌고, 마늘도 1kg에 3천500원으로 보합세를 나타냈다. 대파와 쪽파도 김장철 가격이 오히려 떨어졌으며 상품 1kg에 대파 730원, 쪽파 1천300원선으로 지난 10월보다 100~400원까지 낮은 가격에 거래됐다.

이같은 하락세는 생산지에도 영향을 미쳐 영양 석보면 옥계.홍계 등 고랭지 배추들은 5t트럭 한 대당 140만원에 출하돼 10월 초순의 270만원의 절반 정도에 그치는 등 바닥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상인 김현식(54.안동시 용상동)씨는 "본격 김장철이 됐지만 시장가격의 오름세는 좀처럼 보이지 않고 있다"며 "올해는 배추 등 대부분 김장용 농산물 생산량이 줄어 들었는데도 가격이 오르지 않는 것은 김치 소비감소와 함께 중국산 냉동 홍고추, 마늘 등에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영양.엄재진기자 2000jin@imaeil.com

청송.김경돈기자 kdon@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