툭하면 '통신 중단' KT가입자들 불만

입력 2002-11-14 15:14:00

KT대구본부(본부장 박종수)가 '통화품질 향상'을 이유로 통신서비스를 중단하는 일이 잦아 가입자들의 불만이 높다. 문제는 관련 정보를 쉽게 알릴 수 있는 일간신문이나 방송안내 광고를 하지 않은 채 가입자들이 소음으로 여기고 있는 전화 자동응답서비스(ARS)로 통보, 대부분 가입자들이 통신중단 사실을 모르고 있는 데 있다.

KT대구본부는 오는 16일 새벽0~6시중 대구시 수성구 상동.두산동.황금동 지역 4만5천여 가입자(761~766국)들에 대해 통신서비스를 15~20분씩 중단한다고 14일 밝혔다.

올들어 지난 4월27일부터 이번까지 광케이블 증설. 코넷망 패킷처리능력 향상, 통화품질 향상 등을 이유로 대구.경북지역에서 무려 8차례나 전화와 인터넷가입자에 대한 데이터통신 서비스를 일시 중단했다.

해당지역의 통화품질 향상을 위해 기존의 반전자교환기를 최신형 교환기로 변경키 위한 것이라는 게 그 이유다.이처럼 KT측이 통신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경우 전화나 PC통신이 불가능한 것은 물론 외부에서 걸려 올 전화나 팩시밀리, e메일송.수신에 차질이 빚어져 가입자들의 불만이 커지게 된다.

사정이 이런데도 KT측은 정보전달력이 강하고 독자가 많은 지역 일간신문이나 공중파방송 등을 통한 사전홍보를 외면, 가입자들의 일방적인 피해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이모(41.대구시 수성구 황금동)씨는 "전화ARS로 통보한다고 하지만 누가 전화기를 통해 듣고 있겠느냐"면서 "가입자뿐만 아니라 상대편에서도 알아야 하는 정보인 만큼 모든 시민이 알 수 있는 홍보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KT대구본부 관계자는 "반상회 등을 통해 사전 통지하므로 불편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황재성기자 jsgold@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