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후보들 "북핵 우려" 한 목소리

입력 2002-10-23 12:14:00

북한의 핵개발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23일 열린 김대중 대통령과 대선 예비후보들간의 '청와대 6자 회담'에서는 북핵 관련 정부측 대응과 정보공유,금강산 관광사업과 대북 경수로 사업 등 향후 대북 지원문제가 주 의제로 다뤄졌다.

이회창 한나라당 후보는"북한이 이미 만들었거나 만들고 있다는 핵무기가 장거리 미사일에는 장착이 불가능한 우라늄 농축형"이라며 단거리공격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 뒤 "대북 지원과 협력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당 '북한 핵무기대책특위(위원장 최병렬)'가 건의한 △ 햇볕정책 재검토 △북한 핵개발 중단 및 국제원자력기구(IAEA)를 통한 핵사찰 △ 한반도 위기 초당적 대처등을 김 대통령에게 전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통합21'의 정몽준 의원은 인도적 지원을 제외한 대북 현금지원 중단과 대북 핵협상에 특별사찰 포함 등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정 의원은 지난 21일 청주 오송 국제바이오엑스포장에 참석, "내복 보내기 등 최소한의 인도적 지원을 제외하고 금강산 관광을 포함한 북한에 대한현금지원을 반대하며 경수로 지원과 경의선 연결공사도 잠정 중단해야 한다"고 말한 바 있어 그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통합 21의 한 관계자는 밝혔다.

반면 민주당 노무현 후보와 민주노동당 권영길 후보는 "북한의 핵개발은 결코 용납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하면서도 "대북교류.협력은계속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표명할 것으로 전해졌다. 노 후보는 22일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과 한.미 공조 강화라는 원칙과 함께 북핵 정보의공유가반드시 필요하다"며 "북핵과 관련된 정보를 두고 국민이 혼란스러워 하고 있는 만큼 정확한 사실규명과 대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권 후보도 22일 기자회견을 갖고 "북한의 핵개발 계획은 북한이 의도한 바와는 달리 북한을 전세계 평화진영으로부터 고립시키는 결과를가져올 것"이라며 북한의 핵개발 포기를 주장했다. 그는 또 "미국 부시 행정부가 이번 사태를 군사적 방법으로 해결하려는 것에 결단코 반대하며,모든 수단을 동원, 저지할 것"이라는 입장도 정리했다.

이한동 전 국무총리는 "한반도 비핵화 원칙 준수가 필요하다"면서 △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 △ 한미일 공조강화 등을 김대통령에게제안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