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겪는 질환의 하나가 요통이다. 전체 인구의 80% 이상이 평생에 적어도 한 번쯤은 허리 통증을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급성 요통환자의 80%는 수술 아닌 여러가지 보존적 치료로 두석달 내에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다.
이 치료의 목적은 통증을 빠른시간내에 감소시키고 신체기능을 조기 회복시켜 재발과 만성화를 예방하는 데 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급성요통에서 회복된 환자들 중 상당수가 재발을 경험하며, 인구의 10% 정도가 만성요통으로 고생하고 1% 정도는 신체장애를 갖게 된다.
요통의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드물게는 종양이나 염증에 의해서 발생하기도 한다. 이럴 때도 허리디스크 병변이라 불리는 추간판 탈출증 혹은 단순 요통과 유사한 증상이 올 수 있다.
그때문에 요통의 정확한 원인을 찾기 위해서는 영상검사가 필요하다. 이 검사는 원인, 병변의 정도, 정확한 부위를 판단할 수 있게 한다.또 앞으로의 치료 효과 등을 예상케 할 뿐 아니라 보존적 치료를 할 것인가 수술적 치료를 할 것인가 결정할 수 있는 자료도 제공한다.
영상진단 때는 가장 간단한 검사로 단순 방사선촬영을 한다. 상대적으로 하기 쉬운 이 검사로는 저렴한 비용으로 뼈.관절에 관한정보를 얻을 수 있다. 척추 전방전위증이나 퇴행성 변화 정도는 이 검사로 진단이 가능하다. 또 골다공증을 측정하는 골밀도도 대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하나의 방법으로 골스캔이 있다. 인체에 무해한 핵종을 이용해 전이암, 종양, 골절 등을 진단하는 것.그러나 대체로는 단순 방사선검사를 하고도 더 정밀한 진단이 필요할 경우엔 보통 CT(컴퓨터단층촬영) 검사를 한다.
이 검사는 단면 영상을얻어 단순 방사선 영상에서 구별할 수 없었던 척추의 해부학적 구조를 판독할 수 있게 해 준다. 추간판 탈출증, 종양, 퇴행성 변화로 인한 요통 등을 진단하는데 이용된다. 특히 뼈.관절면의 변화에 관해서는 대단히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위와 같이 영상진단에도 여러 방법이 있지만,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MRI(자기공명영상)이다. MRI는 뼈.관절.근육.인대.척수액.추간판.신경 등을 직접 볼 수 있도록 해 줘 정확도도 가장 높다.MRI는 여러 방향의 단면 영상을 제공하고 해부학적 구조물과 병변을 여러 신호 강도로 표현해 줌으로써 요통의 모든 원인 진단에 유용하다. 단점은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든다는 것이다.
글.김교영기자 kimky@imaeil.com
도움말 서경진원장(서주진단방사선과)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