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다치거나 사망하는 자동차 사고는 인천에서 가장 많이 일어나는 반면 제주는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충남이 가장 높고 부산이 가장 낮았으며 사고율과 손해율은 지역특성에 따른 것으로 조사됐다.
2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손해보험사의 지역별 자동차보험 사고율을 분석한 결과 전국평균은 4.54%였으며 인천이 6.02%로 가장 높았고 제주가 2.72%로 가장 낮았다.
손해율은 보험료수입중 보험료지급 비율이다. 사고율은 인천에 이어 대전(5.61%), 전북(5.23%), 서울(5.07%), 경기(5.04%) 등의 순으로 높았고 하위 지역은 제주에 이어 경남(3.16%), 경북(3.49%), 울산(3.57%), 대구(3.64%) 등의 순이었다.
2000년 사고율은 전북(6.35%), 인천(6.23%), 대전(5.72%) 순이었고 가장 낮은 순서는 제주(2.62%), 경남(3.17%)으로 같았다.
또 지난해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충남이 80.8%로 가장 높았고 전북(80.6%), 강원(77.3%), 경북(76.0%), 전남(75.2%), 대전(71.4%), 경기(67.4%) 등의 순이었다.
반면 부산은 55.9%로 가장 낮았으며 제주(57.9%), 대구(58.6%), 울산(59.1%) 등이 뒤를 이었다.
손해율도 역시 2000년에는 전북(93.0%), 충남(91.7%), 강원(85.8%) 등의 순으로 높아 상위 3개지역은 변함이 없었으며 하위지역인 부산(55.7%)과 제주(48.7%)도 마찬가지였다.
이밖에 7대도시(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의 평균 손해율은 61.6%로 다른 지방(71.6%)보다 10%포인트 낮았다.
이는 대도시는 자동차 밀도가 높아 평균 운행거리가 짧고 교통체증으로 차량속도가 낮은 반면 다른 지방은 차량속도는 빠르지만 도로가 제대로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금감원은 분석했다.
▧사고율과 손해율=사고율이란 사고로 다른 사람에 피해를 줬을 때 보험금을 지급하는 책임보험인'대인배상1'을 기준으로 보험가입 차량 가운데 사고를 낸 차량의 비율이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이진숙 국무회의 제외 결정…"공무원 중립의무 위반"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강선우 '스쿨존 내로남불' 이어 '갑질 내로남불' 의혹에 우재준 "李대통령 어찌 볼지"
[홍석준 칼럼] 우물안 개구리가 나라를 흔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