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천두고 한입서 두말

입력 2002-10-12 00:00:00

정몽준 의원이 대구와 부산지역간의 뜨거운 현안인 위천공단문제에 대해 두 지역에서 다른 입장을 밝혀 구설수에 올랐다.

대구에서는 위천공단조성을 찬성했다가 부산에서는 "진의가 잘못 전달됐다"며 대구에서의 발언을 거둬들인 것이다.

지난 8일 대구를 찾았던 정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위천공단' 조성 문제와 관련, "부산 경남지역에서 낙동강 수질오염을 우려하고 있지만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옷감에 바로 염색하기 때문에 오폐수를 발생시키지 않아 그런 걱정을 할 필요가 없다"며 공단조성에 찬성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물론 정 의원은 "이런 문제는 중앙정부가 조정하기보다는 당사자인 대구시와 경북도, 부산시와 경남도가 직접적인 대화를 통해 추진하는 것이 좋겠다"는 말도 덧붙였다.

이에 대구지역에서는 현정부가 총리실 산하에 국무조정실장을 위원장으로 대구시와 부산시관계자와 시민단체 대표 등 이해당사자들이 모두 참여하는 '위천대책위원회'를 구성, 해법을 모색했지만 결론짓지 못한 점을 들어 대선후보로서 무책임한 현안접근이라는 비판이 제기되면서 정 의원의 위천공단 해법은 별로 주목받지 못했다.

그는 이날 "(위천공단의 폐수처리 문제는) 왜관에서 부산을 지나 낙동강 최하류까지 송수관을 설치하면 해결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대안까지 제시하기도 했다. 정 의원의 발언내용이 전해지면서 부산지역 시민단체가 "정 의원은 '선 수질개선, 후 공단조성'이라는 낙동강 물문제의 기본적인 흐름조차 파악하지 못한 채 시류에 편승한 기회주의적 발언으로 지역주의를 조장하고 있다"며 비판하고 나섰다. 그러자 정 의원은 9일 부산에서 기자간담회를 통해 "대구에서 한 얘기는 원래의 의도와 다르게 전달된 측면이 있다. 내가 말하고자 했던 것은 원칙적으로 양지역간에 합의로 했으면 좋겠다는 뜻"이라고 한 발 물러서면서 부산지역 여론의 눈치를 살폈다.

서명수기자 diderot@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