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기업 '대학가'로 몰려

입력 2002-10-11 15:19:00

주변 건물 보다 싼 임대료를 받고 있는 대구벤처센터의 입주업체들은 잇따라 사무실을 빼내고 있는 반면, 상대적으로 비싼 임대료를 받고 있는 경북대 테크노빌딩이나 경북테크노파크 본부동 건물의 경우 벤처기업들이 앞다퉈 입주를 신청하는 상반된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창업보육센터를 졸업한 벤처기업들을 2차 보육(POST-BI)하는 테크노파크는 값싼 임대료로 벤처기업을유치하기 보다 기술지도, 상품기획, 마케팅 및 투자유치 컨설팅 등 지원 인프라를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한통텔레콤과 넷게이츠, 날리지뱅크 등 입주기업들이 잇따라 대구벤처센터에서 빠져나간데 이어 데이터캐슬21과 유레카미디어도 이달말 입주처를 옮긴다.대구테크노파크 관계자는 "최근 IT(정보기술)·벤처 불황에 따른 자금난이 입주기업대구벤처센터 이탈의 주요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대구테크노파크 본부가 입주해 있는 대구벤처센터는 벤처기업 육성을 위해 지난 해부터 주변 시세(임대보증금 평당 190만~250만원,관리비 평당 1만5천원~1만7천원) 보다 훨씬 싼 평당 임대보증금 120만원에 관리비 1만2천원을 받고 있다.

그러나 내달 준공을 앞둔 경북대 테크노빌딩(지하 2층, 지상 5층, 연건평 2천800여평)은 임대 및 관리비가 평당 월 2만8천원으로주변 건물이 비해 크게 비싼 편인데도 이미 입주업체 선정이 거의 끝난 상태다.

지난 4월 준공된 경북테크노파크 본부동(영남대 캠퍼스내: 지하 1층, 지상 5층, 연건평 2천200여평) 역시 우수 벤처기업 유치를 위해 전략적으로 비워둔 공간(15평, 30평, 60평 각 1개씩)을 제외하면 지난 7월 입주가 완료됐다.경북테크노파크 문영백씨는 "입주업체 선정이 끝난 뒤에도 매일 1~3개 입체들이 입주문의를 해오고 있다"고 말했다.

벤처 전문가들은 "경북대와 영남대내 포스트-비아이 건물에 벤처기업들이 앞다퉈 입주를 원하는 것은 지역에서 보기 드문 최첨단인텔리전트 빌딩이란 점 이외에도 대학의 연구·개발 및 산학연 협력 인프라와 각종 컨설팅 등 종합적 지원시스템에 대한 기대치 때문"이라며 "동대구벤처밸리 발전 계획에도 이 점이 고려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석민기자 sukmin@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