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비서관 비위첩보에 전격 사표수리

입력 2002-10-09 14:47:00

청와대가 8일 비위첩보가 접수된 박만순(朴萬淳)치안비서관(치안감)의 사표를 전격적으로 수리함에 따라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박 비서관의 비위첩보 접수와 사건의 대검 이첩 사실을 확인하면서 "첩보에는 박 비서관이 청와대 재직 이전 일선경찰에 근무할 당시 알게된 사람과 지속적인 친분을 맺어오면서 용돈을 받았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관계자는 "박 비서관은 첩보내용에 대해 부인했으나 '물의를 일으켜 심려를 끼친 점에 대해 죄송스럽다'는 뜻으로 사표를 제출했다"고 말했다.

또다른 청와대 관계자에 따르면 박 비서관 관련 첩보는 이달 초 총리실에 접수됐으며, 이 첩보에는 박 비서관이 지난 95년 서울북부 경찰서장 재직시 알게된 사람으로부터 용돈을 받았다는 내용 등이 포함돼 있다는 것이다.

박 비서관이 비위사실을 완강히 부인하고 있고 사안 자체도 비서관 재직 전에 일어났음에도 불구, 청와대가 첩보접수만으로 즉각 사표를 수리한 배경을 놓고 공직기강 문제와 관련이 있는게 아니냐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김석수 총리가 이날 '임기말 공직기강에 관한 특별지시'를 시달하는 등 정부가 공직기강 확립에 적극 나서고 있는 상황에서 '시범케이스' 차원에서 박 비서관의 사표를 수리했다는 해석이다.

이와 관련, 청와대 고위관계자도 "박 비서관이 비위와 관련이 있는지 여부는 검찰에서 조사를 해봐야 한다"면서 "다만 즉각적인 사표수리는 공직기강 확립을 위한 단호한 의지의 표현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관가 일각에선 향후 정부의 공직기강 확립을 위한 강도높은 감찰활동이 전개될 것이라는 관측이 대두되고 있다.

박 비서관은 전남 광양 출신(52세)로 서울대 문리대를 졸업했으며, 80년 행정고시를 거쳐 관계에 입문, 서울 북부경찰서장, 전남지방경찰청 차장, 중앙경찰학교장 등을 거쳐 2001년 11월 30일부터 청와대 비서관으로 재직해 왔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