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역 육군소장이 국감장에서 "이런 군 지휘부에 충성하느니 전역하는게 낫겠다고 생각했다"는 충격적인 발언이 나왔다는 건 어찌됐건 우리 군 내부엔 심각한 문제가 내연되고 있다고 봐야한다.
육사출신의 정보통으로 특수부대인 대북 통신감청부대장으로 발탁될 정도이면 엘리트 장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정황으로 봐 그가 이달말 전역에 불만을 품고 다분히 감정적인 차원에서 이런 폭탄발언을 터뜨렸다고만 볼 수는 없다.
그의 이런 행태는 지난 6월29일 서해교전이 있기 훨씬 전에 북의 통신감청 등을 토대로 북의 도발이 예상된다는 정보보고서를 당시 김동신 국방장관에게 올렸으나 장관이 그걸 묵살하고 오히려 그 보고를 올린 그의 소속부대에 대한 기무사의 표적조사까지 받은 끝에 그의 전역 결정, 장관 경질로 유야무야 된 배경설명과정에서 튀어나왔다.
우리는 이 소동이 바로 고귀한 해군장병 5명이 숨지고 18명이 전상을 입은 서해교전이 일어났는데도 군 수뇌부가 어정쩡한 태도로 일관해 온 그 의혹을 풀어주는 '해명'이 아닌가 판단된다.
그 당시 우리 해군이 기습공격을 당한 것이나 그 이후의 대응에 강한 의혹을 제기했고 결국 그건 햇볕정책을 군수뇌부가 너무 의식한 게 아니냐 하는 의문이 제기됐다.
그 의문을 육군소장은 증거를 들이대며 설명해준 대목이 아닌가 여겨진다. 물론 이준 국방장관이 "김 전 장관은 단순침범, 도발 등 여러갈래로 보고해온 걸 일목요연하게 정리하라고 했지 삭제지시는 없었다"고 해명했지만 그걸로는 왜 육군소장이 국감장에서 '군의 수치'를 무릅쓰고 폭탄발언을 했는지에 대한 명쾌한 답변이 못된다.
따라서 국방부든 국회든 감사원이든 이 사건의 전말을 철저한 조사로 명쾌하게 밝혀야 한다. 이 문제는 햇볕정책보다 더 중요한 군 안보외에 국군의 사기에도 큰 영향을 끼칠 중차대한 문제임을 정부는 직시해야 한다. 그 보고대로 대응했더라면 서해교전도, 해군의 희생도 막을 수 있었지 않았나 하는 안타까운 생각을 떨쳐버릴 수가 없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