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와 파킨슨병 등 치매겾曹善?질병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알파-시누클레인(alpha-synuclein)' 단백질의'순기능과 역기능'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세계 처음으로 규명됐다.
과학기술부 치매정복 창의연구단 서유헌(서울대 의대 교수) 단장은 사람 신경세포의 하나인 시누클레인 단백질이 평상시에는뇌세포 보호작용을 하지만 뇌 속에 흥분독(毒)이 형성되면 치매성 질병을 유발하는 '이중성'을 규명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 최고의 인용지수(25.5)를 자랑하는 미국 약리학회 발행'파마콜로지컬 리뷰'(Pharmacological Review) 9월호에 국내 연구 결과로는 처음으로 실렸으며, 실험생물학 분야의 국제 권위지인 '파세브저널(FASEB)' 10월호에도 실릴 예정이다.또 29일부터 3일간 일정으로 서울 올림피아 호텔에서 열리고 있는 '아시아겳읊센틈耉?신경과학회 연맹' 학술대회에도 발표됐다.
시누클레인 단백질이 파킨슨병의 발병과 진행에 관여한다는 가설은 97년 처음 제기됐으며, 이후 여러차례에 걸쳐 이 단백질과 신경단위세포(neuron) 사이의 정보전달과정이 규명됐다. 그러나 이 단백질의 이중성이 확인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시누클레인 단백질은 뇌 속 산소가 부족하거나 글루탐산 등의 흥분독이 나타날 때 뇌세포를 보호, 발병을 막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뇌세포에 대한 스트레스 가중현상이 계속될 때는 뇌세포 보호를 위해 시누클레인이 일정치를 넘어 과다 발현되면서 오히려 파킨슨병과 치매 등의 질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