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기관 금융정보 공유, 취업앞둔 신용불량자 '전전긍긍'

입력 2002-09-14 00:00:00

9월부터 금융기관들이 고객대출 등 거래 내용을 전면 공유키로한 가운데 각 기업체들도 직원 채용시 공개된 개인 금융정보 활용이 쉬워져 취업을 앞둔 신용불량자들이 채용에 불이익을 입을까봐 전전긍긍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금융기관들이 1천만원 미만의 대출정보는 거의 정보공유를 하지 않았지만 이달부터는 500만원 이상 개인채무가 유리알처럼 조회되고 신용카드 현금서비스 역시 낱낱이 공개될 예정이기 때문.

특히 기업체들은 예금의 경우 예금자보호법 등 관련 규정에 따라 정보공개가 철저히 제한받는 반면 대출정보는 해당 은행이나 은행연합회 등에 의뢰해 신용정보를 파악하고있는데 앞으로 금융기관끼리 정보공유가 전면화되면 더욱 쉬워질 전망인 것.

최근 올하반기 신입.경력사원 채용에 나선 구미공단의 대기업과 중소기업체들 상당수가 벌써부터 지원자를 대상으로 각종 금융정보를 조회하는 등 신용불량자 여부를 판단, 불합격시키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전자부품업체 한 인사담당자는 "직원이 빚을 갚아야 한다는 중압감 때문에 회사 업무를 해태하거나 어떤 식으로 해를 끼칠지 알수 없는만큼 지원자의 능력 검증과 함께 개인 신용도도 고려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취업 희망자들은 아무리 소액이라도 연체건수가 3건 이상이면 신용불량자로 등록되기 때문에 신용관리를 소홀히 했다가는 자신도 모르게 신용문제로 취업에서 각종 불이익을 당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박모(28.구미)씨는 "신용불량자 정보를 총괄하는 은행연합회가 연체액이나 기간 등을 따져 대출금 상환 뒤에도 일정기간 기록을 삭제하지 않는 바람에 전과처럼 따라 다녀 고민"이라고 말했다.

한편 금융업계는 현재 30만원 이상을 빌린 고객이 3개월 이상 연체하면 신용불량자로 등록하는데 대학을 졸업, 기업체에 신입사원으로 취업하는 연령인 20대의 신용불량자는 약 35만4천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미.김성우기자 swkim@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