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노 측의 이달말 선대위 구성 추진에 밀리던 반노(反盧)세력에 중도파들이 가세하면서 신당 추진이 다시 활기를 띠고 있다. 반면 노무현 대통령후보 측은 선대위 구성을 위한 인선작업에 박차를 가하는 등 대선체제 전환을 서두르고 있다.
13일 오전 여의도 한 음식점에서 한화갑 대표와 주례회동을 가진 노 후보는 선대위 구성문제를 사실상 매듭지었다. 두 사람은 내주 신당추진위의 최종 결론을 보고 나서 노 후보가 선대위 구성문제를 최고위원회의와 협의해 하기로 합의했다. '협의'한다는 조건을 붙이기는 했지만 이날 두 사람은 '선대위는 선거업무를 담당하고 당은 일상당무와 국회운영을 맡는 것'으로 당과 선대위의 역할분담까지 합의했다.
이낙연 대변인은 "노 후보가 한 대표에게 선대위에서 도와달라며 선대위원장직을 제의했지만 한 대표가 '당에 유능한 사람이 많다'며 고사하자 충정을 수용했다"고 전했다.이에 앞서 노 후보는 12일 김원기 고문 등 핵심측근들과 만나 선대위 인선문제 등을 논의했다.
이 무렵 중도파의 중진의원들이 20여명의 의원들을 이끌고 탈당할 것이라는 소문이 터져나와 노 후보측을 긴장시키고 있다.
이들은 '노 후보와 정몽준 의원이 모두 출마하는 다자구도에서는 노 후보를 내세워서는 승리할 수 없다'는 인식을 갖고 '백지신당론'을 다시 제기하고 있다. 박상규 의원은 "지금 이런 식으로 가서는 당에 남아 있는게 아무런 의미가 없다"며 "정몽준 의원의 신당과 자민련 등과 통합하지 않고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이들은 동조의원들을 규합, '노무현 신당'이나 선대위 구성이 가시화되는 내주 중반부터 집단 탈당, 원내교섭단체를 구성하거나 정몽준 신당과 합당해 통합신당을 추진한다는 것이다.
이들의 움직임은 한 대표체제에서 사무총장을 지낸 김원길 의원과 박상규 의원 등 중도성향의 중진의원들이 주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파장이 적지않을 전망이다. 노 후보측은 "그런 얘기를 들었지만 성사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일축하면서도 이들의 움직임을 주시하고 있다.
서명수기자 diderot@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