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도 비 300mm 이상이면 "위험"

입력 2002-09-05 12:25:00

태풍 루사로 인한 재산피해가 사상 최대를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대구도 하루 300mm이상의 비가 내리면 신천, 금호강 등의 제방 치수능력이 한계에 이르는데다 복개하천 및 하수도 관리 등 수해 방지시스템도 엉망이어서 집중호우시 최악의 물난리를 겪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실정이다.

대구시와 전문가들에 따르면 대구지역 하천 제방의 경우 신천은 하루 279mm, 금호강은 217mm의 강우량만 감당할 수 있도록 설계돼 강릉(870.5mm), 김천(285.5mm)처럼 하루만에 많은 비가 쏟아지면 물바다를 면할 길이 없다는 것.

대구기상대 관계자는 "대구는 지난 98년(225.8mm), 82년(210.1mm), 48년(203.2mm) 등 세차례에 걸쳐 200mm가넘는 비가 하루동안 쏟아진 적이 있다"며 "300mm이상 비가 내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결코 안심할 수 없다"고 말했다.

또 하수도의 경우 간선은 시간당 55.5mm, 지선은 47.1mm의 강우량을 감당할 수 있도록 설계됐지만 하수도 집수정의 설치 간격과 용량이 적어 시간당 15~20mm의 비만 내려도 통제 능력을 상실하기 일쑤라는 것.

집중호우시 원활한 통수와 침수 방지역할을 해야할 방촌천, 달서천 등 6곳의 복개하천도 시간당 70~80mm의 강우량을 감당할 수 있도록 설계됐지만 수년간 준설 등 아무런 정비없이 방치돼 각종 부유물질과 토사가 하천바닥에 쌓여 통수 능력을 잃어가고 있다.

서규우 부산 동의대 교수(토목공학과)는 "복개하천 관리를 방치하면 이번 강릉의 경우처럼 복개하천 내 역류현상이 발생,물살이 맨홀을 뚫고 나와 시가지 곳곳으로 범람, 걷잡을 수 없는 피해가 발생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건교부에서 하천 제방이 감당할 수 있는 강우량을 상향조정, 제방을 재설계하는 방안을 논의중"이라며"하지만 수백년에 한번 있을까 말까 한 비때문에 무작정 막대한 예산을 쏟아부을 수도 없는 실정"이라고 밝혔다.

이상준기자 all4you@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