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일이 임박해 오는데도 민주당과 자민련은 대구.경북에서 제대로 후보를 선정하지 못하고 있다. 일찌감치 후보를 확정짓고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는 한나라당과는 완전히 딴 판이다. 그렇다면 집권여당인 민주당이나 한때 잘 나가던 자민련이 이번에는 대구.경북을 포기한 것인가.
민주당과 자민련의 이야기는 다르다. 이제 시작이라는 것이다. 정치상황과 일정을 보면 오히려 지금까지 후보자를 정하지 못한 것이 당연하다는 것이다.
민주당 대구.경북지부는 대선후보와 당 지도부 경선이 진행중이어서 지방선거에 신경쓸 겨를이 없었다고 주장한다. 이제 노무현 대선 후보가 주도하는 이른바 노풍(盧風)을 대구·경북에 본격 확산시켜나가면서 후보 공천 작업을 병행해 나가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이다.
노 후보가 직접 영남지역을 챙기면서 지역 연고가 있는 김중권 고문과 함께 후보를 물색해 나간다면 2000년 4.13 총선과 같은 패배는 다시없을 것이라고 자신하고 있다.
또 최근 여론조사 결과 기존의 무응답층과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 지지층 가운데 일부가 노 후보 쪽으로 쏠리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고 주장, 지방선거 또한 승산없는 싸움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렇다고 고민이 없는 것은 아니다. 기초단체장은 두고라도 지방선거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광역단체장 후보는 물색조차 쉽지 않다는 것이다. '선발투수' 급에 드는 인사들 다수가 한나라당 주변에 포진, 이삭줍기가 쉽지 않은데다 몇 안되는 '구원투수' 급도 함량이 떨어지기 때문이란 것이다.
민주당 관계자들도 "너무 사람이 없다"는 것이다.때문에 과연 민주당의 호언처럼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이 선전하기가 말처럼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강하다.
자민련의 사정은 더 절박하다. 자민련은 96년 15대 총선 당시 대구의 제 1당이던 것이 김대중 정부 출범 이후 지지도가 곤두박질쳐 최근에는 간판조차 유지하지 못하는 수준으로 전락했다. 지역의 유력 인사들도 2년전 총선 이후 거의 당적을 버린 상태다.
현재 자민련이 지역에서 부활할 수 있는 돌파구는 김종필 총재가 주장하는 보수와 혁신 구도로의 정계개편밖에 없어 보인다. '원조 보수'라는 트레이드마크가 지역의 보수성향과 맞아떨어질 경우 사정이 달라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 총재의 처남인 박준홍 경북도지부장은 21일 "정계개편의 조짐도 보이는 만큼 자민련의 부활이 불가능한 일만은 아니다"면서도 "다만 정치권의 변수를 감안, 공천을 가급적 늦출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달리 말하면 자력으로 당장의 바닥세를 만회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어떤 식으로든 대구.경북의 한나라당 1당 지배구조를 무너뜨리려는 민주당과 자민련의 지방선거 전략이 어느 수준까지 열매를 맺을 지가 주요 관심사의 하나다.
이동관기자 llddk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