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의 총재직 사퇴로 구심점을 상실한 민주당이 특대위의 당 쇄신방안 마련을 위한 움직임이 본격화되면서 제도개선을 위한 논의가 분분하다.
논의가 가장 활발한 부분은 당권을 분산하는 방안이다. 현재 특대위도 당 분열 방지와 당권 분산을 위해 총재직 폐지 쪽으로 가닥을 잡아가고 있다. 그러나 이 문제는 전당대회 개최시기 등과 맞물려 대선주자들간, 각 그룹간에 벌써부터 이해충돌이 빚어지고 있다.
특대위에서 논의되고 있는 총재직 폐지론은 정당민주화와 관련돼 있다. 한 당직자는 "여당이 김 대통령의 총재직 사퇴에 발 맞춰 총재직 폐지를 결정할 경우 정당정치가 혁명적으로 바뀌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대통령이 집권당 총재직을 겸직하는 관행이 제도적으로 바로 잡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여기에는 상당수 대선주자들과 쇄신파가 동조하고 있다. 노무현.정동영 상임고문 등은 "카리스마적, 구시대적 총재직을 없애는 것이 가장 상징적인 제도 쇄신"이라며 "정당의 중심을 국회에 두고 원내총무가 대표 역할을 하면된다"고 말했다.
정대철 고문도 "특대위는 1인정당을 민주정당으로 바꾼다는 큰 원칙과 방향은 결정해 공개해야 한다"며 거들었다.
그러나 동교동 신파 리더로 당 총재직과 대권도전을 동시에 노리고 있는 한화갑 상임고문측은 강력 반대다. 26일 확대간부회의에 참석한 한 고문도 기자들의 질문이 이어지자 "대표에게 물어보시오"라며 노골적으로 불편한 심기를 비쳤다. 총재직이 폐지될 경우 집단지도체제가 될 것이 뻔한데 유력한 당권후보인 자신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 뻔하다는 판단이다.
또 개혁그룹 '새벽21'의 장성민 의원도 "대통령 떠난 민주당은 목사없는 교회,스님없는 사찰" 이라며 "통합적 리더십 부재로 이해갈등이 조정되지 않고 있는 만큼 강력한 과도 단일지도체제가 나타나야 한다"고 주장해 눈길을 끌었다. 이에 따라 총재직 폐지 문제가 당 쇄신방안 마련을 위한 논의에서 핵심쟁점으로 부각될 전망이어서 오는 28일 당무위원.지구당위원장 워크숍에서도 이 문제가 논란의 초점이 될것으로 보인다.
이상곤기자 lees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