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잇따른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완화.해제조치에도 이들 지역의 부동산 거래는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
특히 개발기대효과가 눈에 잡히는 군청 이전지 같은 지역에도 토지거래가 전혀 움직이지 않아 부동산 경기의 침체가 예상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대구시에 따르면 올들어 9월말까지 동구, 수성구, 달성군 등 시 전역의 개발제한구역 토지거래허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 2천217건에 비해 3%가 줄어든 2천138건으로 나타났다.
대구 전체 개발제한구역(418㎢)의 45%를 차지하는 달성군(194㎢)의 경우 지난해 9월까지 거래는 480필지 118만㎡였으나 올들어서는 467필지 71만㎡에 그쳤으며, 동구(102㎢)도 20%의 거래감소를 보였다.
거래유형도 농사용의 실수요 중심이라는게 대구시의 분석이다.
이 때문에 해당 지역 부동산업계는 부동산거래 활성화를 기대했다가 울상을 짓고 있다.
달성군 가창면 일대는 외지인에게 암거래되던 개발제한구역 이축권인 속칭 '딱지'가격이 지난해 초까지 4천만~5천만원 선이었으나 최근들어 2천만원 내외로 형성되고 있다.
달성군청 이전지인 달성군 논공읍 일대 거래허가는 월 평균 10여건에 불과하고, 금포리는 거래자체가 없어 땅값 상승을 기대했던 주민들은 실망감을 나타내고 있다.
이곳을 부동산투기 예상지역으로 분류하고 월별로 특별체크하고 있는 건교부도 최근 투기조짐이 없는 것으로 자체 판단을 내렸다.
강병서기자 kbs@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