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7일 아프가니스탄 공격에서 비행장과 집권 탈레반 지휘소를 주요 목표로 잡고 폭격을 가했다.
향후 전개될 추가 공격에는 20여 개가 넘는 오사마 빈 라덴의 테러조직 알 카에다의 캠프 가운데 일부도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도널드 럼즈펠드 국방장관은 아프간 공격 작전의 목적은 향후 추가 공격의 정보를 수집하고 아프간 반군과의 관계를 발전시키며, 알 카에다가 아프간을 더는 활동무대로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데 있다고 말했다.
럼즈펠드 장관은 또 탈레반의 지도자들과 그를 숨겨주는 자들을 용납하지 않고 대가를 치른다는 것을 명확히 보여주는 한편, 탈레반에 시달리는 아프간 난민들에게 인도적 원조를제공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다음은 아프간 내 타격 지점 및 공격 예상 목표.
▲칸다하르=아프간 소식통들은 미국의 폭격이 비행장과 레이더기지에 타격을 가하고 탈레반 지도자인 물라 오마르의 청사와 알 카에다 조직원들의 주택지를 파괴했다고 말했다.탈레반의 제2군단이 칸다하르에 있으며, 빈 라덴 또한 여기에 살았던것으로 전해진다.
▲카불=공항 인근과 탈레반의 정치 및 군사 기지들에서 폭발음이 들렸다. 카불은 탈레반의 제1군단이 포진해 있는 지역이다.
▲카불 인근=주요 몇몇 훈련 기지가 위치해 있다. 과거 옛소련이 사용했던 카불 서남쪽 16㎞지점의 한 훈련소는 수천명의 파키스탄인과 아랍 지원자들이 탈레반에 지원하고 있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알 카에다의 훈련 캠프 1개소도 카불 서쪽 30㎞ 지점에 있다.
▲잘랄라바드=동부 파키스탄 접경의 공항이 타격을 입었다.
▲다룬타 복합시설=잘랄라바드 외곽에 있는 알 카에다의 최대 훈련 시설이다. 여기에는 지난 79~89년 옛소련이 아프간을 점령할 당시 미 중앙정보국(CIA)이 반란을 지원하기 위해세운 기지도 있다. 몇 개의 지하 동굴이 조성돼 있으며 알 카에다가 화학 무기 실험장소로 이용하기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코스트=동부에 위치한 곳으로 지난 98년 케냐 및 탄자니아 주재 미국 대사관 폭탄테러사건 후 알 카에다 기지 가운데 일부가 토마호크 크루즈 미사일에 맞아 파괴됐다. 옛소련 점령 당시 만들어놓은 지하 벙커도 있다.
▲헤라트=서북부에 있으며 탈레반의 제4군단 지휘소가 있다. 전략적으로 중요한 비행장도 있다. 이 비행장의 유류 저장 시설이 폭격을 맞은 것으로 알려졌다.
▲신단드=아프간 중서부 고립지역으로 지난 80년대 옛소련이 이용하던 전체 두번째 크기의 항공 기지가 있다. 지금은 탈레반이 운영하고 있다.
▲마자르-이-샤리프=미 국방부 관리들은 아프간 미국이 북부도시인 이곳 인근에 포진된 탱크를 포함해 탈레반 군사시설을 집중 가격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