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지난 주 뉴욕과 워싱턴 테러공격의 주범으로 지목하고 있는 사우디 아라비아 출신 테러리스트 오사마 빈 라덴의 행방이 테러 발생 열흘이 지난 현재까지 밝혀지지 않고 있어 궁금증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미국 행정부는 지난 11일 테러 참극 직후부터 빈 라덴을제1의 용의자로 보고 중앙정보국(CIA)을 비롯한 정보기관들을 총동원, 그의 뒤를 쫓고 있으나 아직 눈에 띄는 성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부시 대통령은 지난 15일 처음으로 빈 라덴을 이번 테러의 책임자로 지목하면서"만일 그가 미국과 동맹국들로부터 숨거나 도망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전적으로오산하는 것"이라며 끝까지 추적해 정의의 심판을 받도록 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미국은 그동안 CIA의 첩보원, 국가안보국(NSA)의 전자감청 및 컴퓨터 감시, 군사위성 등 정보기관들의 모든 자산을 총동원하는 한편 동맹국들의 제보를 받아 빈라덴을 추적하고 있다.
그러나 미 정보기관 관계자들은 그동안의 노력이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두었지에 대해 입을 다물고 있다.
사우디의 부호 가문의 귀공자로 태어나 현재 40대 중반의 나이에 이른 것으로알려진 빈 라덴은 인생의 상당 부분을 옛 소련과 미국 등 세계 초강대국을 적대해싸워왔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목숨을 부지하면서 종적을 감춘 채 아직 살아있다.
부시 대통령이 지난 20일 상.하 양원 합동회의에서 행한 연설에서 빈 라덴을 비호해온 아프가니스탄의 탈레반정권에 그와 그의 추종자들의 신병 인도를 강력히 요구한 점으로 미루어 미국은 그가 아직 아프간내에 은신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있는듯하다.
테러전문가들은 빈 라덴이 어쩌면 아프간 동부지역의 테러리스트 훈련캠프나 동굴들을 전전하며 몸을 숨기고 있을 가능성이 있으나 미 정보기관들이 그를 추적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이들은 빈 라덴이 미국의 첩보수집 방법을 꿰뚫고 있으며 따라서 정보기관들의추적을 피하기 위한 만반의 조치를 취하고 있음이 분명하다고 말하고 있다.
이를 테면, 빈 라덴은 은신을 위해 이동할 때 민첩성을 발휘하는가 하면 자신이사용하는 위성전화가 도청된다는 사실을 알고 그 사용을 중단하는 등 통신체제를 혁신했을 것이라는 것이다.
한 전문가는 빈 라덴과 그가 이끄는 테러조직 '알 카에다(기지라는 뜻)"가 통신의 대부분을 직접 얼굴을 맞댄 대화에 의존하고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지적했다.
빈 라덴 역시 미국 등 모든 나라들이 중대 기밀을 처리할 때와 마찬가지로 민감한 정보는 소수의 측근들과만 공유하고 있는데 이들이 대면 대화를 할 경우, 이를엿들을 수 있는 인적 정보력이 요구되지만 미 정보기관으로서는 그러한 인력을 찾기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것이 이 전문가의 설명이다.
미 정보당국은 지난 주 테러공격 후 빈 라덴의 추종세력으로 알려진 조직원 2명간의 통화를 도청, 이를 초기 단서로 삼아 이번 사건에 대한 수사를 확대하는 한편빈 라덴의 행적을 쫓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지난 1998년 8월 미국이 아프리카의 탄자니아와 케냐 주재 미 대사관 폭파사건에 대한 보복으로 아프가니스탄 동부에 있는 캠프에 미사일 공격을 가한 이후한때 종적을 감췄다가 지난 2월 아프간 남부 칸다하르에서 열린 아들의 결혼식에 마지막으로 모습을 드러냈던 빈 라덴을 찾아내는 데는 앞으로도 상당한 인내와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전망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