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과 워싱턴에서 피랍항공기를 이용한 테러가 발생하기 바로 수일전 미국 관리들이 일본과 한국에 주재하는 미국인들에게 테러 위험을 경고했던 사실이 새삼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일본 관리들은 12일 미국이 지난 주말께 자신들에게 미군기지나 관련 장소들이공격을 당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고 확인했으나 이러한 위협이 11일의 테러공격 참사와 관련이 있는지는 확신할 수 없다고 말했다.
미국 대사관은 지난 7일 일본과 한국의 미국 군사시설이나 미군이 자주 출입하는 장소에 대한 테러공격 음모가 있다는 정보를 입수했다고 모든 미국 거주민에 대해 매우 이례적인 경고를 발표했다.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총리의 히메노 쓰토무 대변인은 일본은 "일본의 미국 거주민과 미군시설"에 대한 안전을 보장하는 경계에 착수함으로써 미국의 경고에 반응했다고 밝혔다.
위협의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도 밝혀지지 않고있다.
당시 미국 대사관의 패트릭 라인핸 공보관은 위협에 관한 정보는 "신뢰할만 한것"이라고만 말했으며 국무부 관리들은 일본에 대한 위협을 포함하는 전세계적인 경계 대상으로 오사마 빈 라덴의 이름을 꼽았으나 두 가지가 관련이 있는지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국무부는 빈 라덴의 알-카이다 조직원들이 미국을 표적으로 삼고있을지도 모른다는 정보를 지난 5월 입수했다고 밝혔다.
국무부 경고는 "과거의 예로 보아 이들 테러분자는 공공과 민간 표적을 구분하지 않는다"면서 "항상 그랬듯이, 우리는 이러한 정보를 심각하게 취급하며 전세계의미국 정부시설은 고도의 경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히메노 대변인은 미국이 그같은 경고를 발표하는 이유를 일본측에 설명해 주었다고 말했으나 그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그는 "우리는 11일 발생한 사건의 배경을 알지 못한다"면서 "우리는 국무부의경고와 이번 테러 참사와의 관련 여부를 말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일본관리들은 일본내 미국인들에 대한 테러공격 가능성에 대한 경각심을계속 늦추지 않고 있다.
나카타니 겐 일본 방위청장관은 이날 일본자위대가 고도의 경계상태에 들어가 있으며 해안경비정들과 폭동진압 경찰들이 미군기지 주변에 대한 경계를 강화했다고 밝혔다.
일본주재 미국대사관이 이날 휴무에 들어갔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대사관 주변경찰병력 수를 2배로 증가시켰다.
일본에는 약 12만명의 미국인이 거주하고 있으며 4만8천명의 미군이 주둔하고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