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현장 2001-지역 대학박물관 문화강좌

입력 2001-08-22 14:41:00

대학 박물관이 달라졌다. 대학 박물관은 이제 더이상 현학적인 취향의 소수 지식인들만이 출입하던 고답적인 공간이 아니다. 대학 박물관이 주민 다가서기에 나섰다. 문호를 활짝 열고 우리 문화에 관심있는 모든 사람들과 문화유산을 공유하고 있다.

대학 박물관은 이제 일반적인 역사와 문화자료의 공개 뿐만 아니라 특색있고 전문성있는 시민 문화강좌로 지역사회와의 깊은 연대 형성에 노력하고 있다. 대학 박물관에 가면 역사의 뒤안길까지 보인다. 문화강좌를 통해 지금껏 역사의 주변으로 밀려났던 중요한 사건과 위대한 인물들을 다시 만날 수 있는 것이다. 대학 박물관 강좌와 함께하면 혼탁한 시류에서 한걸음 물러나 역사를 보는 눈이 달라지고, 삶의 의미가 새로워진다.

지난해부터 시작해 모두 3기 250여명의 수료생을 배출한 경북대 박물관(관장 주보돈)은 다음달 7일부터 12월 7일까지 매주 금요일(오후 6시30분~8시30분) '한국 회화사의 이해'란 주제의 제4기 문화강좌를 연다. 이번 강좌는 선사시대 암각화에서 고려 불화, 조선시대 풍속화 및 민화, 근대 동·서양화 등 우리나라 회화사의 흐름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게 기획했다. 각 시대를 풍미했던 시대양식과 대표적인 화가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회화사를 중심으로 한 우리 역사에 대한 이해의 폭을 크게 넓힐 수 있는 기회.

분야별로 국내의 권위있는 교수와 전문가들이 강사로 나서며, 간송미술관·국립중앙박물관·호암미술관 등을 찾아보는 현장답사 프로그램도 포함돼 있다. 수강료는 10만원이며, 이달말 까지 강좌 신청을 받는다. 053)950-6536. 인터넷 접수(gic·knu·ac·kr/vl/museums).

영남대 박물관(관장 이청규·문화인류학과)은 '다시 읽어보는 한국사-16강'을 준비했다. 울주 암각화의 비밀을 풀어나가면서 선사시대 사람들이 무엇을 생각하고 세상을 어떻게 이해했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시작으로 숨은 역사찾기에 나선다.역사의 뒤안길로 밀려난 발해와 가야의 역사를 재조명해 보고, '화랑세기'를 통해 신라사람들의 생활상을 되짚어 본다. 망국의 군주였던 까닭에 역사의 제자리를 차지하지 못했던 고구려 광개토대왕·백제 무령왕·후백제 견훤왕을 통해 매섭고 냉엄한 역사의 교훈을 얻는다.

변혁의 시대에 역사의 전면으로 나서야 했던 대원군과 명성황후의 정치적 위상과 갈등에 대해서도 교과서 외적으로 분석해 본다. 이번 학기가 제24기로 지역대학 중 최고의 연륜을 자랑하는 영남대 박물관 문화강좌는 지역사회 주민들이 우리 역사의 허와 실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기회가 될 것임을 자신하고 있다.

9월6일부터 16주간 매주 목요일 오후 2시부터 2시간 30분 동안 진행되는 강좌의 수강신청은 개강 전날까지이며, 수강료는 14만4천원이다. 053)810-3627.

조향래기자 swordjo@imaeil.com

◈대학박물관 문화강좌 일정

〈경북대〉

주월일강의과목강 사

197암각화의 세계안동대 교수 임세권

214고구려 고분벽화울산대 교수 전호태

321고려 불화(상)전경주대 교수 정우택

428고려 불화(하)〃

5105몽유도원도와중앙대 겸임교수 오주석

조선시대 걸작들

612겸재 정선전남대 교수 이태호

719단원 김홍도중앙대 겸임교수 오주석

81021답사간송미술관, 국립중앙박물관

호암미술관

926혜원 신윤복영남대 강사 이인숙

10112추사 김정희영남대 교수 유홍준

119장승업과 조선말기서울대 박물관

회화학예연구관 진준현

1216조선시대 초상화〃

1323조선시대 민화〃

1430근대 서양화한국예술종합학교

(이중섭, 박수근, 김환강사 강성원

기를 중심으로)

15127근대 동양화서울대 교수 정형민

(이상범, 변관식, 이응

노를 중심으로)

〈영남대〉

주월일강의과목강 사

196울주 암각화의 비밀장명수(국민대 박물관)

213한반도 고인돌 왕국의최몽룡(서울대)

수수께끼

320발해를 찾아서한규철(경성대)

427무령왕은 누구인가조유전

(국립문화재연구소)

51011고구려 비밀의 문 서영수(단국대)

광개토왕비

618화랑세기를 통해 보는 이종욱(서강대)

신라의 역사

725 답 사

8111사라진 가야의 역사들김세기(경산대)

98진훤이라 불러다오이도학(전통문화학교)

1015강화도와 삼별초윤용혁(공주대)

1122스님 일연김정숙(영남대)

1229 답 사

13126정조와 수원성미정

1413추사 김정희와 제주도유홍준(영남대)

1520대원군과 명성황후이이화(역사문제연구소)

1627옛그림의 이해와 감상오주석(중앙대)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