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산재급증, 안전투자 줄인 때문이라니

입력 2001-08-21 14:00:00

노동현장에서 숨지거나 다치는 등 산업재해(産業災害) 근로자가 급격하게 늘어나는 것은 위험한 작업환경을 방치한 것이나 다름 없다. 대구·경북 등 전국에 걸쳐 상시근로자 5명 미만의 영세사업장의 산업재해 발생 건수가 지난해 보다 3배이상 증가했다니 안전사고에 대한 불감증을 보여주고 있다. 이로인해 경제적 손실이 4조1천여억원에 이를 정도면 이를 타개할 대비가 시급하다.

우선 사업주의 안전관리 보건부분의 지속적인 투자와 관심이 있어야 한다. 지난 99년까지만 해도 줄었던 산업재해가 올해 상반기부터 급증추세 를 보인 주원인이 IMF이후 이 부분에 대한 투자축소로 나타나고 있다. 산업재해가 발생하면 산업재해보상법에 따른 보상금을 지급하면 그만이라는 생각을 버려야 산재예방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일이다. 사업장별로 안전보건 관리 조직을 강화하고 안전교육도 체계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타율이 아니라 자율적인 안전보건관리 체계를 확립하는 사업주들의 의지가 필요하다.

근로자도 노동현장에서는 안전수칙을 지키는 등 안전의식을 평소부터 가다듬어야 한다. 올해 상반기에 산업재해를 당해 보상을 받은 근로자는 사망자 1천193명 등 모두 3만7천552명으로 지난해보다 8천814명(30.7%)이 늘어난 원인은 근로자들의 안전수칙 위반이 상당수로 집계 되고 있다. 안전구나 안전망 등을 제대로 착용했거나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지 사전점검을 소홀히 해 작업중에 피해를 입는 경우가 허다했다. 안전관리는 당사자가 철저하게 챙기고 근로자끼리 주의를 환기하는 협조체제 구축이 산업재해를 예방하는 최선의 길이라고 본다.

노동부 등 관련부처의 현장지도와 감독을 효율적으로 펼쳐야 한다. 산업안전대회 등을 일과성대회로 치러선 안전의식 확산은 기대할 수 없다. 유해(有害)요인 사업장은 개선작업을 적극적으로 유도, 근로자의 피해를 막아야 한다. 작업환경개선이 곧 생산성 향상이라는 점을 간과해선 안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