삽살개 생태계파괴는 '누명'

입력 2001-08-14 12:31:00

"억울하다, 왕 왕!" 외로운 섬 독도의 외로운 경비대원들의 친구 삽살이가 화 났다. 새를 잡아 죽이는 등 독도 생태계를 어지럽힌다고 환경부가 누명(본지 13일자 보도)을 씌웠다는 것.

환경부가 문제 삼고 나오자 독도를 관할하는 경찰 울릉경비대가 13일 자체 진상조사에 나섰으나, 현지에서는 모두들 환경부보다는 삽살이를 믿는 분위기이다. 지난 7월25일에 단 8시간 독도에 머물며 생태 조사를 벌여 놓고는 "삽살이 7마리가 배가 부르면서도 섬을 돌아다니며 새들을 괴롭히고 있어, 이날 발견된 바다제비.괭이갈매기 100마리의 사체도 삽살개 소행으로 보인다"고 단정하는 것은 믿기지 않는다는 것.

더우기 장기간 현지에서 근무한 경비대원들의 증언은 하루짜리 환경부 관찰과는 전혀 반대되고 있다. 울릉경비대장 박정호 경감이 최근 독도 근무를 교대해 울릉도로 돌아 온 대원들을 상대로 조사해 본 결과, 삽살이가 그런 행패를 부리는 것을 본 사람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독도에 근무 중인 정인환 독도경비대장(경위)도 "괭이갈매기들은 생존 경쟁에서 지거나 돌풍 등에 영향 받아 자연사하는 경우는 자주 볼 수 있으나, 벼랑 끝에 집을 지어 살기 때문에 사람 조차 접근은 어렵다"고 했다.

그러나 경찰은 "기어코 문제로 삼는다면 7마리 중 4마리는 울릉도로 보내고, 3마리는 독도에서 묶어 키우겠다"고 했다. 경비대원들이 외로움 달래 줄 친구들을 까딱하면 잃게 된 상황. 때문에 이들의 안타까움은 대단하다. 최근 울릉도로 교대해 온 박성훈(21) 일경은 "삽살이 가족들은 경비대원들이 다니는 돌계단으로만 돌아 다닐 뿐"이라며 "동작 둔한 삽살이가 새를 잡는다는 것은 말도 안된다" "생태계 파괴의 누명을 꼭 벗겨줘야 한다"고 말했다.

독도 삽살이는 1998년에 삽살개 보존회가 암수 한쌍을 기증, 지금은 10마리로 늘어 독도에 7마리, 울릉 해안초소에 3마리가 배치돼 경비대원들의 친구가 되고 있다.

울릉.허영국기자 huhyk@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