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하~영천간 도수로 개통에 의해 피해를 보고 있다고 주장하는 지역은 물공급지인 안동을 비롯, 경유지 청송, 간접피해지 의성, 영천 등 4개시군이다.
이들은 하류의 수질개선을 위해 아무런 대가도 없이 상류지역 주민들의 희생만 강요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특히 정부가 '낙동강 수계 물관리 및 주민지원 등에 관한 법률'까지 추진하고 있어 상류지역은 상대적으로 낙후되고 보상은 제대로 받지 못한다고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물 공급지-안동지역
안동시의회는 17일 성명서를 통해 "안동·임하댐으로 인해 안동지역은 4만5천여명의 수몰민들이 고향을 떠나 조세 감소만 해도 연간 6억5천만여원에 이르고 댐 주변의 자연환경 변화로 농작물 피해와 생산 감소 추정액이 매년 285억여원에 이른다"며 "댐주변지역 개발을 꽁꽁 묶는 관련법 제정은 낙동강 상류지역의 낙후를 희생양으로 삼고 있어 헌법에 명시된 지역균형 개발과 정면 배치된다"고 문제점을 지적했다.
시의원들은 "안동국가공단 조성과 경북도청이전 문제 등이 완전히 묵살되고 오랜 낙후와 침체라는 희생을 감수해 온 마당에 최근 금호강 수질개선을 위해 하루 26만t의 임하댐 물을 보내고 있는데 지역 주민들은 상대적 박탈감에 분노와 함께 끝없는 절망을 낳고 있다"며 "관련 법 제정은 도저히 용납할 수 없으며 즉각 철회할 것"을 주장했다.
김근환 안동시의회 의장은 "이 법안은 댐유역 등 광범위한 댐 주변지역에 대해 공장, 축사, 음식점, 숙박시설 설치를 제한하고 농사에 필수적인 농약·비료 사용도 금하며 하류지역 수질이 1년내내 2급수가 될 때까지 일체의 개발을 하지 못하도록 규정해 두고 있다"며 "반대 요구가 관철되지 않을 경우 시민들과 함께 총궐기해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할 계획"이라고 벼르고 있다.
◇물 경유지-청송지역
임하∼영천간 도수로 18km가 경유하는 청송지역도 통수가 시작된 이후 도수로 주변 농경지가 가뭄 피해를 겪고 있다는 주민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군청이 집계한 피해지역만 해도 2개면 13개리 42개 자연부락 680여가구.
주민 대표 김하국(47·현서면)씨는 "마을에 사는 90세되는 노인도 지금까지 단 한번도 하천이 고갈된 적이 없었다고 하였는데 도수터널로 인하여 지하수와 지표수가 고갈되어 농사를 짓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청송군청 박정무(52)건설과장은 "군은 수공측이 설치한 관정 등 모든 시설물에 대해 인수인계를 받지 못했으며, 앞으로 피해지역 주민들과 합심하여 주민고충사항을 해결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댐 간접피해-의성지역
임하~영천간 도수로 통수이후 의성군의회는 "낙동강 상류 댐주변지역 주민들이 일조량 부족과 서리.안개 일수가 많아 농작물 생산량이 감소하는 등의 피해를 감수하고 있는데 중.하류지역은 아무런 대가없이 맑은 물을 그저 끌어가는 특혜를 보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의성지역 사과 집산지인 옥산면의 경우 행정구역상 댐과 직접 접해 있는 곳은 아니나 임하댐과의 직선거리가 10여km에 불과해 댐 피해 간접 영향권이라는 게 주민들의 주장. 남동하(옥산면)·김명회(점곡면) 의성군의원은 "올해 점곡지역 사과나무 개화율이 평균 60%선을 밑돌고 있다"며 "이는 임하댐으로 인한 안개 등으로 일조량 부족과 지난 겨울 혹한이 겹쳐 나타난 피해로 보인다"고 말했다.
의성군농업기술센터 권기섭 과수 지도사는"화분시기인 지난해 6, 7월 안개 등으로 일조량이 턱없이 부족해 올 봄 개화율이 크게 떨어졌다"고 했다.
사과 뿐만 아니라 보리농사와 시설재배도 댐으로 인한 혹한피해를 입고 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보리 재배단지인 단밀면, 하우스 시설재배 단지인 안사면의 경우 재작년 겨울에 이어 지난 겨울에도 기온저하로 상당수 보리밭이 동해를 입었다고 농민들은 말한다.
단밀면 보리작목반장인 김경진(43)씨는"재작년 같은 경우 보리가 동해를 입어 수확량이 40% 이상 줄어들었다"며"올해도 동해 영향으로 20, 30% 정도 수확이 줄어들 것으로 농민들은 보고 있다"고 말했다.
군의회 전정진(안사면) 부의장은"기온 저하와 안개로 하우스 난방비가 매년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다"며"이 또한 댐의 영향이 아니고 뭐냐"고 했다.
이에 대해 한국수자원공사측은 댐 주변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상 의성군이 임하댐과 직접 접해 있지 않아 피해보상은 물론 주민지원도 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안동.권동순기자 pinoky@imaeil.com
청송.김경돈기자 kdon@imaeil.com
의성.이희대기자 hdlee@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