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3차 문제 최우수작

입력 2001-04-27 14:44:00

교육 문제는 여느 다른 사회 문제들과 마찬가지로 사회 현상의 한 부분이다. 따라서 교육 문제와 같은 사회 문제를 볼 때 그 사회의 환경이나 역사적 배경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상대적 관점에서 현재 우리 나라의 교육을 본다면 과열 과외나 학벌 지상주의와 같은 현상들은 어느 정도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근간의 우리 나라 교육은 이러한 상대적 시각으로도 포용되지 못할 만큼 심한 위기 상황에 처해 있다.

우선 우리 교육의 가장 큰 문제점은 뿌리가 없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서 대학에 들어가기 위해 하는 공부라는 의미 외에 보다 근본적인 목적이 없다는 것이다. 교육부에서 발표하는 정책 입안서에는 전인 교육 실현이라는 그럴듯한 문구가 들어 있지만 이는 탁상공론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고 현실은 그러하지 못하다. 학교 일선에서는 전인 교육이라는 말이 전용되어 모든 부분에서 완벽한 인간형을 만드는 데 급급하고 진정한 인간다운 인간교육은 찾아 볼 수 없다. 교육의 본래 목표는 진정한 인간성을 실현하는 데 있다. 옛 어른들은 아이들을 가르칠 때 학문을 가르치기 이전에 앞서 그 아이의 됨됨이를 먼저 살펴보고 됨됨이를 갖추지 못한 아이들은 그것부터 갖추게 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러나 현대에는 인간됨보다는 외형적인 지식만 중요하게 취급하고 단편적인 지식 위주로 모든 것을 판단하고 있어 문제이다. 진정한 인간성 실현, 이것은 우리가 교육을 통해 평생 추구해야 할 근원적인 목표이다.

다음으로 교육자와 피교육자간의 신뢰가 결여되어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누군가를 교육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호 신뢰가 전제되어 있어야만 한다. 신뢰는 무언의 약속과 같아서 약속이 깨어지면 서로의 관계가 서먹해지듯이 불신이 만연하면 그것으로 교육은 끝이다. 스승과 제자가 서로를 믿지 못하는 데 무엇을 가르치고 배울 수 있겠는가. 교실 붕괴 현상이나 도피 유학이 기승을 부리는 것 또한 상호 신뢰가 붕괴되고 있기 때문이다. 대학 입시 정책이 변덕적으로 바뀌는 것 또한 신뢰가 결여된 대표적인 예라 볼 수 있다. 신뢰 회복이야말로 현재 우리 교육이 해결해야 할 우선 과제인 것이다. 이를 위해선 교육자와 피교육자 모두 노력할 필요가 있다. 교육부는 과거 구식의 교육 제도에서 벗어나 보다 체계적이고 근본적인 교육 정책을 설정하고 이를 일관성 있게 추진할 수 있어야 한다. 피교육자인 우리들도 이러한 교육 정책에 믿음을 가지고 그 정책을 잘 따라야만 할 것이다. 이러한 양자간의 상호 노력만이 우리 나라의 교육을 정상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교육은 국가의 백년대계란 말이 있다. 또한 많은 학자들은 한 나라의 교육 정책을 보면 그 나라의 미래를 예견할 수 있다고 하니 교육의 중요성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우리 나라의 교육은 그 중요성에 비해 너무나도 파행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교육 정책은 일관성을 잃었을 뿐만 아니라 무엇을 지향하는지 그 목표조차 없었고 사람들은 이러한 우리의 교육을 버려 왔다. 하지만 이제부터라도 서로간의 신뢰를 회복하고 상호 협조 속에서 진정한 인간성 실현을 위해 노력한다면 곧 우리의 교육은 정상화 될 수 있을 것이다.

김동배(협성고 졸업)

최신 기사